열린마당

[기자노트]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 조남호 기자

조남호 기자
입력일 2017-03-16 10:25:19 수정일 2017-03-16 10:25:19 발행일 1992-02-09 제 1791호 2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교육부는 오는 3월 신학기부터 초중고교에서 「특수 재능아(영재)교육」을 본격적으로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그동안 실시 여부를 두고 논란이 많았던 영재교육이 과감하게 시도되는 셈이다.

그러나 교육에는「모로 가도 서울만가면 된다」는 식의 결과론보다는 과정이 더욱 중요하게 여겨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번 특수재능아 교육 시행지침서는 인간교육이라는 측면보다는 「속성 재배, 다량 출하」라는 기능적인면에 치우쳐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교육부는 이 지침서에서 『특수 재능교육은 어느 자원개발에 못지 않은 국가적 초미의 발전 전략』이라고 언급, 영재교육을 효과적인 자원개발(資源開發)책으로 축소화하고 있으며, 이는 경제발전을 위한 조속한 인력확보가 곧 영재교육의 목표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일게 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특수재능아 선별 규준도 협동심과 사회성이 거의 제외되고 ▲나이에 비해 뛰어난 기민성 ▲예민한 관찰력 ▲학습에의 열정 ▲부단한 질문 ▲광범위한 관심 ▲우수한 성적 ▲뛰어난 언어구사력 ▲높은 독서력 ▲독창적 사고와 핵심적인 답변 ▲강한 집중력 ▲강한 자아의식과 특출한 유머감각 등 기능적인 측면에 치우져있다.

교육부는 이 특수재능아 교육의 실시에 앞서 투자와 생산이라는 산술적 평가를 벗어나, 신체적ㆍ지능적으로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이탈 가능성이 높은 특수재능아들에게 다가올 교육적 부작용이 무엇이고 어떤 치유책이 있는지도 좀더 세심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특수재능아 교육은 국가 자원확보다 부모의 기대 측면보다는 입시위주의 과중한 과외강요에 지쳐있고 놀이시간조차없는 일명「공부기계」학생들의 측면에서 정말 절실한 것인지 반성해 보아야 할 것이다.

조남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