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제호는 그 신문의 얼굴이다. 신문 역사와 가치관이 모두 담겨 있기 때문이다. 독자들이 가톨릭신문 지면에서 가장 먼저 눈길을 던지는 곳이기도 하다. 신문에 실리는 광고 역시 지면에서 빼놓을 수 없는 존재다. 가톨릭신문에 실리는 광고는 시대상 뿐만 아니라 당시 한국교회에서 중요했던 이슈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톨릭신문 제호와 광고 변천사를 통해 가톨릭신문 90년 역사를 흥미롭게 반추해본다. ■ 제호 - 천주교회보 가톨릭신문 전신으로 1927년 4월 1일 창간된 ‘천주교회보’(天主敎會報) 제호는 2번에 걸쳐 디자인 변경을 했고 1953년 2월 5일자까지 사용됐다. 창간 당시 이 제호에 대해 일각에서는 “청년회에서 내는 청년회 기관지가 어찌 천주교회 전체를 대변하는 것처럼 ‘천주교회’를 제호에 넣었느냐”고 비판하는 시각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꾸준하게 간행되고 내용이 충실하게 갖춰지자 부정적인 견해 대신 신문을 응원하는 분위기로 바뀌었다. - 가톨릭신보·가톨릭시보 한국전쟁이 막바지에 접어들던 1953년 3월 7일자부터 ‘가톨릭신보’(가톨릭新報)로 제호가 변경된다. 당시 사설에서는 제호를 바꾸게 된 사유를 이렇게 전한다. “천주교회보와 가톨릭신보라는 명칭이 근본적으로 다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지금(전쟁 중인 상황)처럼 가톨릭의 시대 사명이 긴급하게 요청되는 적이 없었기 때문에 우리의 사명을 다하고 시대 요구에 보다 더 충실하기 위해 제호를 바꾼 것이다.” 전쟁이 끝난 뒤 1954년 1월 15일자부터는 ‘가톨릭시보’(가톨릭時報)로 바뀐다. 관련 사설이 나오지 않아 특별한 이유가 설명되지는 않았다. ‘신보’와 ‘시보’ 모두 정기적으로 발행되는 신문을 뜻하는 단어다. 3회에 걸쳐 디자인이 변경됐다. - 가톨릭신문 1980년 4월 6일자부터 드디어 ‘가톨릭신문’(가톨릭新聞) 제호로 바뀐다. 당시 사설은 “시보나 신문이나 무엇이 다르냐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시대를 반영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 제호를 바꾸게 됐으니 실로 한국 매스컴 발전을 위해 뜻 깊은 일이라 할 것이다”라고 전한다. 한자를 병행한 세로형 제호를 사용하던 가톨릭신문은 1988년 4월 5일자부터 한글로 된 ‘가톨릭신문’ 가로형 제호로 변모한다. 이 제호는 서예가 김단희(金端喜) 선생이 쓴 글을 응용한 것이었다. 현재의 가톨릭신문 제호 디자인은 창간 79주년인 2006년 4월 2일자 신문부터 사용된 것이다.방준식 기자 bjs@catimes.kr
방준식 기자
bjs@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