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제21대 대선] ‘공동선 증진’·‘정의 실현’ 위한 한 표 필요

이승훈
입력일 2025-05-28 09:08:04 수정일 2025-05-28 09:08:04 발행일 2025-06-01 제 3444호 1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조기 대선’ 앞둔 대한민국, 그리스도인의 선택 기준은?
Second alt text
대구대교구청 외벽을 따라 핀 장미꽃 아래로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들의 선거벽보가 붙어 있다. 박원희 기자

조기 대선이라는 민주주의의 시험대에 오른 대한민국. 공동선 실현을 향한 그리스도인의 지혜로운 ‘한 표’가 필요하다.

12·3 비상계엄 선포와 현직 대통령 체포, 서로 상반된 주장으로 분열된 시위 등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혹독한 겨울을 보냈다. 그리고 꽃샘추위가 물러난 4월 4일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으로 6·3 조기 대선이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모든 국민들이 민주주의의 꽃이라 불리는 선거를 통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회복시키는 중대한 사명을 짊어지게 된 것이다.

선거는 비단 사회인만이 아니라 신앙인의 책무이기도 하다. 교회 역시 “정치 권위의 주체는 주권을 지닌 국민 전체”라고 가르치기 때문이다.(「간추린 사회 교리」 395항 참조)

교회는 “모든 국민은 공동선의 증진을 위해 자유 투표를 할 권리와 동시에 의무를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모든 그리스도인이 정치 공동체 안에서 고유 소명을 의식하며, 확고한 책임 의식을 지니고 공동선 함양에 진력해 빛나는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사목 헌장」 75항 참조)

지난해 12월 4일 ‘비상계엄 선포와 해제를 바라보는 한국 천주교회의 입장’을 발표한 주교회의 의장 이용훈(마티아) 주교는 “우리나라의 민주주의는 수많은 희생을 치르며 이루어왔다”며 “한국교회는 지난 세월 많은 사람들의 피와 땀으로 이룩한 우리의 민주주의를 지켜나갈 것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무엇보다 그리스도인은 선거를 통해 “공동선을 추구하고, 또한 공동선을 달성하기 위해 도덕적으로 합당한 방법을 사용하는” 공권력을 선출해야 한다.(「가톨릭 교회 교리서」 1903항 참조) 

한국교회 지도자들은 이번 대선을 앞두고, 이러한 교회의 가르침에 부합하는 대통령의 자질에 대해 제언해 왔다.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 위원장 김선태(요한 사도) 주교는 5월 14일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즈음한 담화’를 발표, 선출되는 대통령에게 바라는 덕목들을 ▲국민을 섬기는 대통령 ▲통합하고 모으는 대통령 ▲평화를 일구는 대통령 ▲공동의 집 지구를 보존하는 대통령 등으로 제시하며 “우리 모두가 후보들의 정책들을 꼼꼼히 살피고 식별함으로써, ‘공동선 실현’에 헌신할 수 있는 후보가 뽑힐 수 있기를” 당부했다.

이어 “대통령은 국민을 섬기고 돌봄으로써 나라를 이끄는 최고의 정치 지도자”라며 “모든 사람이 신성한 권리와 의무인 투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용훈 주교 역시 4월 4일 발표한 ‘헌법 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에 대한 한국 천주교회의 입장’에서 공권력에 대한 바람을 표명한 바 있다.

이 주교는 “정치인들은 국민에게 봉사하기 위하여 존재함을 잊지 않고 상대를 존중하며,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는 상생의 정치로 나아가기를 바란다”면서 “사회적 화해와 공동선의 실현을 위하여 책임과 도덕성을 갖춘 지도자를 선출하는 절차가 민주적이고 성숙하게 실현되길” 기대했다.

한편 주교회의는 신자들이 교회의 가르침에 부합하는 정책을 제안하는 후보자를 보다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돕고자 대통령·국회의원 선거 때마다 정책 질의서를 후보자에게 발송하고 답변을 공개해 신자들의 선택을 도와왔다. 하지만 이번 대통령 선거에 나선 모든 후보자들은 주교회의가 보낸 ‘정책 질의서’에 관한 답변을 선거를 일주일 앞둔 5월 27일까지도 보내지 않았다.

이승훈 기자 joseph@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