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스코 교황님이 뭐하는 사람이야?”
4월 23일, 프란치스코 교황 분향소가 마련됐던 수원교구 주교좌정자동성당 앞에는 조문을 기다리는 줄이 끝없이 이어졌다. 엄마 손을 잡고 온 한 아이는 긴 줄을 보고 프란치스코 교황이 궁금했던 모양이다. 엄마가 “세상을 지키려고 하늘에서 보내준 천사 같은 분”이라고 설명하자 아이는 “천사가 하늘나라로 돌아갔으면 이제 세상은 누가 지켜?”라고 걱정스런 표정을 지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삶은 그야말로 천사 같았다. 가난과 평화를 상징하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에게서 영감을 받아 자신의 교황명을 프란치스코라 정한 교황. 그의 삶은 늘 소박했고 그의 옆에는 집을 잃은 이주민과 노숙자, 가난하고 병든 이들이 함께했다. 또한 교황은 복음적 가치를 선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실천했다. 2016년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을 제정했고, 이주민과 난민의 권리 옹호를 위해 노력했으며, 2015년 발표한 회칙 「찬미받으소서」는 종교계를 넘어 전 세계가 생태위기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됐다.
2014년 방한 때 역시 프란치스코 교황이 가장 먼저 손을 내민 곳은 고통받는 이들이었다. 당시 교황은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고 있는 유가족과 한국의 모든 이들을 따뜻하게 감쌌고 “세월호 유족의 고통 앞에서 중립을 지킬 수 없었다”고 전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유언장의 끝에 “제 삶의 마지막에 맞이하는 고통을 온 누리의 평화와 만민의 형제애를 위하여 주님께 봉헌한다”는 말을 남겼다. 마지막까지 세상의 평화와 형제애를 위해 기도했던 프란치스코 교황. 천사는 하느님 곁으로 돌아갔지만 우리가 어떤 삶을 살아가야 하는지 알려주고자 발자취를 남겼다.
민경화 기자 mkh@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