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전 신앙선조들이 기도하던 그 자리 그대로
국가에서는 조상들이 남긴 유산 중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것을 ‘문화재’로 정해 보호한다. 보존할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은 그 안에 담긴 이야기들이 현재를 사는 우리들에게 유의미한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한국교회 230년 역사 안에도 수많은 이야기가 존재한다. 신앙을 지키고자 한 신앙선조의 희생과 노력은 과거에만 머물러있지 않다. 오래된 성당 건물, 낡은 십자가 등 우리가 무심코 지나쳤던 옛 것들에 관심을 기울인다면 가치있는 과거의 유산을 발견할 수 있다. 신앙선조의 흔적이 담긴 교구 내 문화재를 살펴본다.
‘삐그덕 삐그덕’ 100년의 역사를 품고 한자리를 지키고 있는 안성 성당(경기도 안성시 구포동 80-1). 신발을 벗고 성전 안으로 발을 내딛자 오랜 시간을 머금은 소리들이 방문객을 먼저 반긴다. 바닥부터 천장까지 모두 나무로 지어진 성당은 쿰쿰한 냄새가 코를 찌르지만, 가난해 먹고 살기 힘들어도 가장 단정한 옷을 챙겨 입고 미사를 드리러 왔을 신앙선조들의 발길, 손길이 닿은 곳이라고 생각하니 그 냄새마저도 정겹다. 이 성당은 1901년 프랑스 신부 공베르에 의해 처음 건립됐다. 이후 1922년에 재건된 것이 지금 남아있는 건물이다. 안성본당의 초대주임이었던 공베르 신부는 1922년 3월 성당 건립 공사를 시작, 8월 15일 성모 승천 대축일에 첫 미사를 봉헌했다. 당시 공베르 신부는 프와넬 신부의 설계를 토대로 중국인 기술자의 힘을 빌려 성당을 완공했는데 기와와 돌 등은 안성군 보개면 동안리에 있던 유교 강당을 헌 재료를 이용했고 목재는 압록강변과 서산 지방의 것을 썼다고 전해진다. 프와넬 신부가 설계한 성당의 입구는 서측에 위치하며 중앙에는 회중석이 있고 동쪽 끝에는 제단이 있어 서양식 성당의 공간 구조와 유사하다. 한편 건축 재료와 결구는 전통적인 방식이 적용됐다. 이처럼 한·양 절충식 건물인 안성성당은 성당 건축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라고 평가되며 1985년 경기도기념물 82호로 지정됐다.민경화 기자 mkh@catimes.kr
민경화 기자
mkh@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