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

[논단] 성인 이름과 우리들의 세례명에 대한 고찰 <하>

허종진 바오로ㆍ한글학회
입력일 2019-12-17 13:21:05 수정일 2019-12-17 13:32:11 발행일 1987-10-25 제 1577호 5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세례명」호칭과 표기 통일돼야

2.잃어버린 세례명


가톨릭 신자라면 누구나 세례명이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웃지 못할일 가운데 하나가 자기의 세례명이 어떤분의 이름을 따서 지었는지를 모르는 사실이다. 이렇게 된 근본적인 까닭은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그 가운데 하나가 먼저 세례받은 이들이 예비자들에 대한 무성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면 잘못된 말일까? 세례 성사가 시작되기 직전까지도 대부모를 정하지 못하고 허겁지겁 하는 예비자들이 평생의 수호 성인이 될 분을 깊이 생각하여 정할 엄두는 도대체 낼 수도 없었을 것이고, 아무렇게나 골라잡아 지은 이름에 애착이 갈리가 없을 것이다. 어떤 성인의 이름을 따서 세례명을 지을때는 그 성인에 대한 설명과 아울러 그분을 본받아 훌륭한「믿는이」가 될 것을 예비자들에게 가르치는 일에 소홀히 한점을 우리는 뉘우쳐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웃지 못할 일은 자기 세례명을 알고 있어도 정작 오늘날은 어떻게 부르는지를 모르는 분들의 경우다. 이른바 오래 믿은 집안이라는 것을 내세우려고 그랬을 리는 없겠지만, 오늘날 쓰이는 이름이 아니라 중국 사람들이 지은 한자 이름을 그대로 지어 주어서 생기는 경우다. 그 보기를 들어보면 ①이름의 본디 소리와 한국식 한자음과의 차이가 너무나 심한 경우:말구, 말딩, 바스디아노, 방지거, 백다록, 보록, 분도, 비리버, 스더왕, 아오스딩, 안당, 아각백, 약슬약한, 약망, 요왕, 원선시오… ②소리가 비슷하여 혼란을 일으키는 경우:요안, 요한, (금구)요왕, 도마, 도마스, 다마소… ③한사람에 두가지 이름:다두→유다…의 경우가 대조적이다. 특히 ③의 경우는 예수님을 팔아먹는 유다스와 혼돈될 우려가 있어서「타테오」로 쓰였던 것을 몰랐기 대문에 일어난다.


어쨋든 이러저러한 까닭으로 말미암아 외인들이 배꼽쥐고 돌돌구르겠지만 우리들은 웃지도 못할 일이 벌어진다.


세례명을 가진이끼리 만났는데도 그 사실을 모르고, 엉뚱한 날에「본명축일」을 기념하는 가하면, 진짜 수호성인이 섭섭할 정도로 다른 성인을 들락거리거나 아직 누군지를 모르고 입다물고마는 일이 벌어진다. 이러고서야 어디「통공」이 이뤄지며 세례명을 짓는 참뜻이 있겠으며, 훌륭한「믿는이」가 되겠는가.


『나를 떠난 사람은 잘려나간 가지처럼 밖에 버려져 말라버린다』(요한15ㆍ24)라는 말씀에서와 같이 뿌리없는 신자가 생기게 된다면 우리 모두의 책임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런 일을 막고자「성교공과」의 성인 호칭기도에 나오는 옛말들을 중심삼아서 오늘날 쓰이는 이름을 비교한 표를 실어본다.



<세례명 비교표>

 라틴어

 한자

전에 쓰던 말 

요즘 쓰이는 말 

 Gabriel  


 嘉俾阨爾

 嘉彼阨爾

 가별, 갑열


 가브리엘


 Catharrina 


 嘉大利納

 가타리나

 가다리나

 가파리나


 Rosa 


 老沙 

 羅酒

 노사


 로사 


 Laurentius 

 老楞佐

 노렌조, 로렌죠

 라우렌시오

 Lucas

 路加

 누까, 누가

 루가

 Lucia


 累時阿

 路濟亞

 누시아, 루치아     

 루시아

 루시아


 Judas

 Taddaeus

 達陡

 다두

 다테오, 다테오

 유다 


 Damasus

 達瑪瑣

 다마소, 다마스     

 다마소

 Thomas


 多默

 多瑪斯

 도마

 도마스

 토마스


 Dominicus


 多明我

 多敏我

 도민고

 도미니꼬

 도미니코


 Matthaeus 

 瑪竇               

 마두, 마테오        

 마태오

 Martinus

 爾瑪定

 말딩

 마르티노

 Fabianus 

 法俾盎

 바비아노

 파비아노

 Setastianus


 巴斯策盎


 바스디아노

 세바스디아노

 세바스티아노


 Paulus

 保祿

 바오로, 보록

 바울로

 Barnabas 

 巴爾納伯

 발바라, 발나바

 바르나바

 Franciscus


 方濟各


 방지거

 프란치스꼬

 프란치스코


 Caecilia 


 則濟理亞


 세시리아

 세칠리아

 세실리아


 Stephanus


 斯德望


 스더왕

 스데(떼)파노

 스테파노


 Cimon

 西滿

 시몬

 시몬

 Agatha

 亞加大

 아가다

 아가타

 Agnes

 依榒斯

 아녜

 아녜스

 Augustinus


 奧斯定


 아오스딩

 아우구스띠노

 아우구스티노


 Anna

 安納

 안나

 안나 

 Antonius


 安當 

 安敦伊

 안당

 안돈이

 안토니오


 Andreas

 安德肋

 안드레이

 안드레이

 Ambrosua


 盎彼羅削

 盎博羅削

 암브로시오


 암브로시오


허종진 바오로ㆍ한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