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제주교구·한국교회사연구소 ‘제주와 정난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주제 학술대회

염지유 기자
입력일 2023-12-05 수정일 2023-12-05 발행일 2023-12-10 제 3371호 4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제주의 첫 신앙인 정난주, 역사적 진실 정리 필요”
기념관 설립 방향성 논의
정난주 본명은 ‘정명련’ 강조

11월 30일 제주 중앙주교좌성당에서 열린 ‘제주와 정난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세미나에서 발제자와 논평자들이 종합토론을 하고 있다. 제주교구 사무처 제공

제주의 첫 번째 신앙인 정난주 마리아(1773~1838)의 삶을 새롭게 조명하고, 정난주 기념관 건립 사업의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제주교구와 한국교회사연구소(소장 조한건 프란치스코 신부)는 11월 30일 제주 중앙주교좌성당에서 ‘제주와 정난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주제로 교구 학술대회 및 제213회 한국교회사연구소 연구발표회를 개최했다.

제주교구장 문창우(비오) 주교는 개회사에서 “정난주에 관한 기억은 천주교 공동체를 비롯해 여러 문화 예술의 현장에서 다양하게 표출돼 왔지만 조금 왜곡된 부분도 있다”며 역사적인 진실성을 고려해 정난주의 삶을 고찰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난주의 실제 이름은 ‘정명련’이다. 족보뿐 아니라 처벌을 기록한 「승정원일기」, 「일성록」, 「연좌안」에도 ‘명련’으로 기록돼 있다. 한국교회사연구소 권이선(로사) 연구원은 “정명련은 정약현의 딸로서 ‘마재 정씨의 딸’, ‘황사영(알렉시오)의 아내’, ‘정씨 부인’ 등 가문과 남편에게 가려진 채 호명됐고, 이름에 대한 정확한 근거 없이 정난주가 되어 기억 속에 전승됐다”고 지적했다.

권 연구원은 또 “정명련과 관련한 전승은 전통적인 어머니의 상이 투영돼 있다”면서 “정명련의 행적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더 다양한 방면으로 자료 발굴이 이뤄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국교회사연구소 송란희(가밀라) 학술이사는 정난주 기념관의 설립 방향성을 제안했다. 송 연구이사는 “‘정난주’라는 이름을 기념관 명칭으로 사용하는 데는 논란의 여지가 있어 보이며, 전승과 역사의 구분이 모호해지지 않도록 정명련이 몰래 추자도에 아들 황경헌을 남겨 놓았다는 전승도 역사적 사실을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장소 측면에서는 대정 성지의 가치에 주목했다. 그는 “정명련의 무덤이 있는 서귀포시 대정읍 ‘대정 성지’에 기념관을 세워 추모의 장소가 기억의 장소로 변화하고 또 기념의 장소가 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교회사연구소 김장환(라파엘) 연구원은 제주로(濟州路)를 따라 경기·충청·전라를 거쳐 해남에 이르고, 추자도에 들러 바다를 건넌 후, 산록길을 따라 대정현으로 간 정난주의 유배 노정을 추정했다. 이를 토대로 제주 옛길의 특징과 정난주 유배 순례길 활용 방안을 살폈다.

11월 30일 제주 중앙주교좌성당에서 열린 ‘제주와 정난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세미나 후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제주교구 사무처 제공

염지유 기자 gu@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