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기획/특집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 - 원로 주교의 삶과 신앙] 1. 윤공희 대주교(5)

정리 남재성 기자
입력일 2022-04-19 수정일 2022-04-20 발행일 2022-04-24 제 3291호 15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교회 쇄신 향한 변화의 바람 한가운데 서다
1962년 시작된 제2차 바티칸공의회
수행원 역할로 참석한 첫 회기에 이어
수원교구장으로서 두 번째 공의회 참석
당시 가톨릭시보 통해 공의회 소식 전해

1965년 제2차 바티칸공의회에 참석한 윤공희 대주교(맨 왼쪽)를 비롯한 한국주교단 일행. 가톨릭신문 자료사진

■ 제2차 바티칸공의회 첫 회기

1962년 제2차 바티칸공의회 첫 회기에 참석하게 된 것은 참 운이 좋은 일이었다. 이후에는 지원 제도가 없어졌지만, 당시엔 전교 지방의 주교들이 각자 비서를 2명까지 공의회에 동반할 수 있었고, 그 비용도 교황청에서 다 지원해 줬다.

한국주교단은 특별히 외국에 가본 경험이 없는 신부를 택해서 수행원으로 데리고 가려는 분위기를 보였다. 그때 나는 로마 유학을 다녀와서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에서 일하고 있었다. 당시 협의회 총재 주교님은 메리놀회 출신인 청주교구장 파 주교님(James V. Pardy)이었다. 파 주교님께선 누구를 데려갈까 고민하시다가 메리놀회가 북한 평양교구에서 활동할 때부터 인연을 맺었던 평신도 사무장 로마노씨와 나를 수행원으로 데리고 가셨다.

그런데 공의회 첫 회기 일정 중에는 주교님들 외에 수행원들이 옵서버로 공의회에 참석할 시간은 마련되지 않았다. 회기 내내 파 주교님 혼자 오전엔 공의회에 참석하시고, 오후엔 내가 모시고 로마 시내로 나가는 일정이 이어졌다. 내가 로마 유학 경험이 있었던 터라 로마 안내를 맡게 된 것이었다.

첫 회기 동안 13개의 의안을 토의했지만 회기가 끝날 때까지 준비와 토론만 이어지고 결정된 내용은 적었다. 그런데 전례에 대한 안건, 그것 하나만은 의결이 됐다. 이를 통해 미사를 비롯한 전례 시간에 라틴어가 아닌 모국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제2차 바티칸공의회에서 특별히 강조했던 것은 평신도의 역할이었다. 이때 교회 내에서 펼칠 평신도 역할에 대해 논의했던 내용은 추후 평신도사도직협의회가 만들어지는 기틀이 됐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 모습.

■ 두 번째 공의회 참석

1964년 제2회기는 수원교구장이 된 후에 열려, 나도 주교로서 공의회에 참석하게 됐다. 수원교구장 임명 관련해서도 이런저런 기억들이 많지만, 다음 회로 다루겠다.

처음 공의회 총회에 들어가니 주교들이 라틴어로 열띤 토론을 하고 있었다. 그땐 종교 자유에 관한 의안을 두고 토론이 한창이었는데, 각 국가와 지역마다 라틴어 발음이 미묘하게 차이 났던 것이 생각난다.

당시 미국에서 오신 유명한 추기경이 두 분 계셨다. 뉴욕대교구의 스펠만 추기경(Francis Joseph Spellman)과 보스턴대교구의 쿠싱 추기경(Richard James Cusing)이었다. 라틴어로 토론이 오가는 와중에 이 분이 Liberatus(자유)를 영어식으로 크게 소리 내어 좌중이 웃었던 기억이 떠오른다.

당시 세간에선 미국 주교단에 대해, ‘공의회 내용도 잘 모르고 그저 참석해서 손만 들 것이다’고 비평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실제로 공의회에 참석한 각국 주교단 중에는 다른 주교가 발언할 때 집중하지 않거나 별로 의견을 내지 못하고 수동적으로만 참여하는 나 같은 이들도 꽤 있었다. 그러나 그 와중에서도 분위기를 주도한 유명한 추기경이 한 분 계셨다. 바로 독일의 베아 추기경(Augustin Bea)이었다. 그분은 예수회 출신의 성서학자로 아주 진보적인 가치관을 지닌 훌륭한 리더 중 한 분이었다. 베아 추기경과 관련해선 또 한 가지 일화가 기억난다. 공의회가 한창일 때 로마 공항에 내리면 국가별로 항공사 광고가 훤하게 보였는데, 그중에 영국 항공사 베아(B.E.A-British European Airways) 즉 ‘영국유럽항공’의 광고판도 크게 붙어 있었다. ‘Fly BEA’, ‘베아에 타라’고 광고문구가 쓰여 있는데, 그걸 본 주교 중 누군가가 ‘우리도 베아에 올라타면 된다. 베아 추기경이 얘기하는 대로 따르면 된다’고 농담을 해 얘깃거리가 되기도 했다.

이 시기 가톨릭신문(당시 가톨릭시보)의 역할이 참으로 컸다. 당시 한국교회에서는 공의회 관련 정보를 얻을 길은 가톨릭신문밖에 없었다. 때마침 독일에서 해외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김수환 추기경님이 사장으로 계셨는데, 공의회에 대해 열심히 소개했다. 김 추기경님이 얼마나 열성을 가지고 임했는지, 나중에 얘기하길 ‘밥 먹는 시간도 그렇게 아까웠다’고 하더라. 김수환 추기경과 당시 유일한 교계신문이었던 가톨릭신문은 전례 개혁과 제2차 바티칸공의회를 알리는 데 아주 큰 역할을 했다.

정리 남재성 기자 namjs@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