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Understand:지성적 이해) 넘어 “오~”(Awe:영적 이해) 해야
가톨릭신문 독자들을 영성적 삶으로 초대하겠다며 겁 없이 뛰어든 것이 벌써 1년6개월을 넘겼다. 이제 마무리를 해야 할 때다. 그동안 나는 가톨릭신문 독자들과 일상 안에서 영성적 삶을 실현하기 위한 꿈을 함께 꿔왔다.
첫 작업은 ▲우리 각자의 원천을 알아내는 것이었다. 이후 ▲우리 각자의 마음을 열고 ▲삶과 생명에 귀 기울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언제나 ‘예!’라고 대답해야 하는 삶에 대해 ▲신비를 비추어내는 삶에 대해 성찰했다. 마지막으로 우린 ▲은총과 함께 나아가는 삶의 풍요로움에 대해 묵상해 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는 영성적 삶이 수도원이나 특정 장소와 상황 안에서만이 아닌 평신도들의 일상 삶 속에서도 완벽하게 실현될 수 있음을 알았다.
그런데 하고 싶은 말을 다 했음에도 글을 마치면서 아쉬움과 허전함이 남는 것은 왜일까. 그것은 아무리 방법적으로 통달한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삶 안에서 영성을 살아내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이제 마지막으로 영성적 삶을 위한 일상에서의 몇 가지 당면 문제들에 묵상하는 것으로 글을 마무리 하려 한다. ▲두려움 ▲형성적 기투(나 자신을 포기하고 하느님 뜻에로 나아감) ▲경외 등이 그것이다.
일상 삶 속에서 영성에 대해 이야기할 때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두려움’이다. 일반적으로 두려움은 악(惡) 혹은 고통의 예감 내지는 가능성을 접할 때 우리가 느끼는 감정이다. 이 두려움은 두 가지를 말할 수 있다. 우리가 발 디디고 살아가는 ‘이 세계와 관련된 두려움’과 ‘하느님과 관련된 두려움’이 바로 그것이다.
우리는 일상 안에서 자주 두려움을 체험한다. 좋은 차를 타지 못할까, 좋은 음식을 먹지 못할까, 좋은 옷을 입지 못할까 두려워한다. 심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두려움은 아직 다가오지 않은 미래에 과도하게 집중하기 때문에 생겨난다. 이러한 감정은 외부적인 어떤 위험이나 비교행위부터 회피하고 싶은 감정이다. 다시 말해서 이 세계와 관련한 두려움은 근본적으로 이 세계에 믿음과 의지를 두는데서 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이 세계에 대한 두려움은 이 세계 내적인 것들이 하느님의 가치를 대치하는 우상숭배가 행해지는 현상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두 번째 두려움은 하느님에 대한 두려움이다. 구약성경에서 볼 때 하느님의 놀라우신 일들은 하느님과 접촉한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경외와 두려움을 유발시켜 주었다. 이러한 두려움은 단순한 공포심이 아니다.
물론 두려움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은 현대 영성의 사조에 맞지 않는다고 말할 수도 있다. 신약성경에서도 두려움이 덜 강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사랑은 세속적인 두려움을 극복한다. 그러나 그리스도인들의 두려움은 자신이 벌을 받지나 않을까 하는, 그런 노예적인 두려움이 아니다. 이것은 오히려 자녀로서 갖게 되는 효성스러운 두려움이다. 하느님에 대한 두려움은 두려움 그 자체로 느껴서는 안 된다. 두려워 하는 동시에 온전히 안겨야 한다.
베네딕토와 프란치스코 성인의 예를 볼 때, 또 나 자신의 체험으로 볼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은 하느님 안에서 쉰다는 것이다. 우리 일생의 삶을 통해 경험한 무의식층 안에는 상당히 많은 초월적 의식이 있다. 문제는 두려움 자체에만 집중하게 되면 이 초월적 의식이 떠오를 수가 없다는 점이다. 두려움은 긴장감을 높이고 긴장감은 두려움의 강도를 더욱 높인다. 쉬어야 한다. 뛰듯이 달리던 걸음걸이의 보폭을 줄이고 멈춰야 한다.
내가 말하는 두려움은 하느님을 단순히 무서워하라는 것이 아니다. 하느님께서 나를 지옥에 보낼 분이기 때문에 겁을 먹으라는 것이 아니다. 하느님은 무서운 분이 아니다.
우리는 “아~”(Understand : 지성적 이해)를 넘어 “오~”(Awe : 영적 이해)라고 경탄의 말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내가 말하는 두려움은 하느님의 놀라움에 대해 경탄을 하면서, 그 하느님의 뜻을 감히 이룰 수 없기 때문에 느끼는 두려움이다. 그래서 하느님에 대해 느끼는 두려움은 세속적 두려움이 아니다. 긴장되고 동요되며 공포를 느끼는 그런 두려움이 아니다. 성스러운 두려움이다. 하느님의 거룩한 뜻을 찾고자 하는 두려움, 하느님의 뜻을 감히 알지 못한다는 두려움이다.
교리/영성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 이 말이 궁금해요
- 전통 가정과 가톨릭 가정
- 주님 만찬으로의 초대
- 이동익 신부의 한 컷
- 이주의 성인
- 민범식 신부의 쉽게 풀어쓰는 영성과 기도 이야기
- 하느님 안에서 기쁨 되찾기
- 최대환 신부의 인물과 영성 이야기
- 펀펀 전례
- 자아의 신화를 찾아서
- 펀펀 교리
- 쉽게 풀어쓰는 영신수련
- 김인호 신부의 건강한 그리스도인 되기
- QR 생활성가
- 나는 예비신자입니다
- 차동엽 신부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해설
- 정하권 몬시뇰의 가톨릭교회교리서 해설
- 교회법아 놀자
- 전달수 신부의 묵시록 연구
- 청소년 영성
- 길거리 피정
- 재미있는 전례 이야기 ‘전례 짬짜’
-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Ⅱ
- 성서해설
- 복음해설
- 훠꼴라레 생활말씀
- 성좌의 소리
- 정영식 신부의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 영성으로 읽는 성인성녀전
- 성숙한 신앙
- 대희년을 배웁시다
- 그리스도교 영성사
- 영성의 대가들
- 백민관 신부가 엮는 신약성서 해설
- 지상 신학강좌
- 바오로 서간 해설
- 유충희 신부의 '바오로 서간' 해설
- 정영식 신부의 신약성경 읽기
- 주뻬뻬 수녀의 복음묵상
- 성서말씀나누기
- 교부들로부터 배우는 삶의 지혜
- 교부들의 가르침
-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 영성의 대가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