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희년을 맞아 예수 그리스도와의 만남을 위해 교구와 본당에서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이 점에 대해 우리는 교황 바오로 6세께서 1975년의 희년을 기념하면서 『인간을 그 내부로부터 새로 태어나게 해야 한다』라고 지적하신 말씀을 기억할 수 있겠다. 인간이 내적으로 새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참회와 고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주님의 은총의 해인 「성년」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우선 하느님과 화해하고 아버지 하느님의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
하느님의 집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우리 자신이 죄인임을 인정하고, 방탕한 아들처럼 『아버지, 제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습니다』(루가 15, 18)라고 고백하는 것이다. 『우리가 죄를 고백한다면 그분은 진실하고 의로우시니 우리 죄를 용서하시고 온갖 불의에서 우리를 깨끗하게 해주실 것이다. 우리가 죄를 짓지 않았다고 말한다면, 그분을 거짓말쟁이로 만드는 것이며 그분 말씀이 우리 안에 계시지 않는 것이다』(1요한 1, 8~10). 구약성서에서는 종교인에게 매우 중요한 것이 참회라고 가르친다. 경건한 유대인은 죄를 지은 뒤에 하느님의 분노를 가라앉히고 그분의 은총을 받기 위해 참회했다. 그렇지만 외적인 참회에는 언제나 내적인 회개, 곧 하느님과의 대화를 계속하기 위해 잘못된 길을 버리려는 굳은 결심이 동반되었다. 단식을 하거나 희사를 한 것은 하느님을 다시 만나고자 하는 인간의 이러한 염원에 대한 참회의 표시가 되었다. 이렇게 볼 때, 구약성서에서도 참회는 이미 하느님의 사랑을 회복하고 그분을 온전히 신뢰하는 개인적인 종교 행위였다.
그러나 참회가 갖는 사회적인 차원도 있었다. 하느님 백성의 일원이라고 하는 것은 한 개인으로서만이 아니라 모든 이와 연관된 것이다. 그래서 구약성서에서 「야훼의 가난한 자」들은 그들 자신만이 아니라 전체 백성의 성화를 위해 참회했던 것이다. 그리스도와 교회 안에서의 참회가 가져다 주는 풍요롭고 충만한 의미에 비해 이 모든 것은 아무것도 아니다. 전 인간을 변화시켜야만 그리스도께서 선포하신 나라에 속할 수 있다. 예수께서는 죄 없으신 분이지만 인간 본성을 그대로 받아 들이셨고, 다른 사람들의 죄를 대신 짊어짐으로써 당신을 따르는 이들의 참회의 길에 새로운 빛을 던져 주신다. 초기 교회에서 세례받은 그리스도인은 모든 죄로부터 깨끗해지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하느님과 교회 앞에 계속해서 참회했다. 새로운 생명으로 태어난다는 것은 어떻게 사는 것이 올바르게 사는 것이며 어떻게 세상 사물을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를 아는 것을 뜻한다. 오늘날에도 참회하는 것은 이 세상의 것에 노예가 되지 않는다는 것과 살아계신 하느님께로 돌아간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기에 자기 자신을 비우고 사막으로 만드는 참회의 과정이 없이는 진정한 회개가 있을 수 없다. 세상과 인생의 여러 가지 소음들에서 멀리 떠나 하느님께로 돌아간다는 것은 유혹에서 멀리 떠나는 것이 아니라 시련에 직면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것은 하느님의 말씀을 듣기 위해 영혼의 침묵 중에 자신만의 시간을 갖고 주님께서 나에게 다가오실 수 있는 길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것이 곧 요한 세자가 외친 것처럼 『주님의 길을 닦고 굽은 길을 바르게 하는 것』(루가 3, 4)이다. 주님의 길을 준비한다는 것은 죄의 사함을 받기 위해 세례를 받아야 한다는 것만이 아니라, 특히 『회개에 합당한 열매』(루가 3, 7)를 맺는다는 것을 뜻한다.
교리/영성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 이 말이 궁금해요
- 전통 가정과 가톨릭 가정
- 주님 만찬으로의 초대
- 이동익 신부의 한 컷
- 이주의 성인
- 민범식 신부의 쉽게 풀어쓰는 영성과 기도 이야기
- 하느님 안에서 기쁨 되찾기
- 최대환 신부의 인물과 영성 이야기
- 펀펀 전례
- 자아의 신화를 찾아서
- 펀펀 교리
- 쉽게 풀어쓰는 영신수련
- 김인호 신부의 건강한 그리스도인 되기
- QR 생활성가
- 나는 예비신자입니다
- 차동엽 신부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해설
- 정하권 몬시뇰의 가톨릭교회교리서 해설
- 교회법아 놀자
- 전달수 신부의 묵시록 연구
- 청소년 영성
- 길거리 피정
- 재미있는 전례 이야기 ‘전례 짬짜’
-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Ⅱ
- 성서해설
- 복음해설
- 훠꼴라레 생활말씀
- 성좌의 소리
- 정영식 신부의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 영성으로 읽는 성인성녀전
- 성숙한 신앙
- 대희년을 배웁시다
- 그리스도교 영성사
- 영성의 대가들
- 백민관 신부가 엮는 신약성서 해설
- 지상 신학강좌
- 바오로 서간 해설
- 유충희 신부의 '바오로 서간' 해설
- 정영식 신부의 신약성경 읽기
- 주뻬뻬 수녀의 복음묵상
- 성서말씀나누기
- 교부들로부터 배우는 삶의 지혜
- 교부들의 가르침
-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 영성의 대가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