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의 권세, 나라가 바로서는 날
회개하며 산 이들 천상구원 얻을 것
그리스도께서 일곱 봉인 중 첫 봉인을 떼신다. 그러자 흰색 말 위에 활을 든 사람이 화관을 받고 승리를 위해 나아갔다(묵시 6, 2 참조). 기품이 늠름한 승리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예수는 이제 둘째 봉인을 떼신다. 그러자 “다른 붉은 말이 나오는데, 그 위에 탄 이는 사람들이 서로 살해하는 일이 벌어지도록 땅에서 평화를 거두어 가는 권한을 받았다. 그리하여 그는 큰 칼을 받았다”(묵시 6, 4).
예수께서 이어 셋째 봉인을 떼시자, 손에 저울을 든 이가 검은 말을 타고 나타나고, 넷째 봉인을 떼시자 ‘죽음’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가 푸르스름한 말을 타고 나타난다. 악한 이들은 모두 죽임을 당할 것이라는 묵시다(묵시 6, 5~8 참조).
이어 다섯 번째 봉인과 여섯 번째 봉인을 뗀 후에는 지금까지 와는 달리 죽임을 당한 영혼들이 나타난다. 예수께서 다섯 번째 봉인을 떼자 요한은 하느님의 말씀과 자기들이 한 증언 때문에 살해된 이들의 영혼이 제단 아래에 있는 것을 보게 된다.
그들은 “거룩하시고 참되신 주님, 저희가 흘린 피에 대하여 땅의 주민들을 심판하고 복수하시는 것을 언제까지 미루시렵니까?”라고 부르짖는다. 이 부분을 자칫 “원수를 갚아 달라”는 의미로 해석하면 안된다.
묵시록 전체 차원에서 보면 이 부르짖음은 바로 하느님의 정의가 바로 세워져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당신의 권세와 나라가 서기를 바라는 그런 울부짖음인 것이다. 실제로 울부짖는 이들에게 희고 긴 겉옷이 주어진다. 그리고 그들은 자기들처럼 죽임을 당할 동료 종들과 형제들의 수가 찰 때까지 조금 더 쉬고 있으라는 분부를 받는다(묵시 6, 9~11 참조).
예수께서 이제 여섯번째 봉인을 떼신다. 그러자 큰 지진이 일어나고, 태양은 검게 되고 달은 온통 피처럼 된다. 또 하늘의 별들은 땅으로 떨어지고, 하늘은 두루마리가 말리듯 사라져 버리고, 산과 섬은 제자리에 남아 있는 것이 하나도 없다. 땅의 임금들과 고관들과 장수들과 부자들과 권력가들, 또 종과 자유인도 모두 동굴과 산 바위 틈에 몸을 숨긴다(묵시 6, 12~15 참조).
이 부분은 하느님 나라가 도래할 때 맞게 되는 종말론적인 대 파국을 묘사하고 있다. 결국 예수께서 여섯 봉인을 떼시는 이 내용은 당시 교회를 박해하고 있었던 권력자와 죄 지은 이들에게 내려질 하느님의 엄중한 심판에 대한 메시지를 읽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궁금점이 생긴다. 분명 두루마리는 일곱 봉인이었다. 그런데 예수는 여섯 번째 봉인까지 떼신다. 아직 하나가 남았다. 일곱 번째 봉인 이야기는 뒷부분에 나온다. 그 일곱 번째 봉인을 떼는 날, 바로 우리는 ‘하느님 나라’의 모습을 ‘지금 여기서’볼 수 있을 것이다.
요한은 그 하느님 나라를 두 가지 차원에서 묘사하며, 맛보기로 살짝 보여준다. 하느님의 옥좌 앞에서 영광을 받는 의인의 모습과, 하느님과 함께 영광스럽게 살아가는 모습이 그것이다.
“한 천사가 살아 계신 하느님의 인장을 가지고 해 돋는 쪽에서 올라온다. 그가 땅과 바다를 해칠 권한을 받은 네 천사에게 큰 소리로 외친다. ‘우리가 우리 하느님의 종들의 이마에 인장을 찍을 때까지 땅도 바다도 나무도 해치지 마라’”(묵시 7, 3) 의인은 이마에 인장을 받게 된다. 그런데 이 인장을 받은 이들의 수가 14만4000명이다(묵시 7, 4 참조).
일부 개신교에서 이 14만 4000명을 글자 그대로 해석하곤 한다.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실제로 종말에 14만 4000명만 구원을 받는다면 어떻게 될까. 14만 4000명 안에 들려면 엄청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가진 것 모두 내놓아야하는 것은 물론이고 엄청난 극기와 희생, 기도의 삶을 살아도 14만 4000명 안에 들까말까 할 것이다.
성서신학은 이 수를 상징적으로 해석한다. 성경에서 12라는 숫자는 이스라엘의 12지파, 예수의 12사도 등 온 인류를 뜻하는 충만의 숫자다. 이 충만의 숫자에 12를 더 곱하면 144가 된다. 충만에 충만을 곱한 것이다. 이 144에 또다시 1000배 한 것이 바로 14만4000이다.
14만4000명이 인장을 받는다는 것은, 결국 하느님께서 모든 인류의 구원을 원하신다는 의미다. 전 인류가 회개하고 참다운 삶을 살아간다면, 진정으로 하느님 창조의 의미에 합당한 삶을 살아간다면 종말의 그 날, 모든 이들에게 인장이 찍힐 것이다.
요한은 이어 이마에 인장이 있는 백성들이 하느님 나라에 모여 있는 장엄한 모습을 보게된다.
〈수원교구 영통성령본당 주임〉
교리/영성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 이 말이 궁금해요
- 전통 가정과 가톨릭 가정
- 주님 만찬으로의 초대
- 이동익 신부의 한 컷
- 이주의 성인
- 민범식 신부의 쉽게 풀어쓰는 영성과 기도 이야기
- 하느님 안에서 기쁨 되찾기
- 최대환 신부의 인물과 영성 이야기
- 펀펀 전례
- 자아의 신화를 찾아서
- 펀펀 교리
- 쉽게 풀어쓰는 영신수련
- 김인호 신부의 건강한 그리스도인 되기
- QR 생활성가
- 나는 예비신자입니다
- 차동엽 신부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해설
- 정하권 몬시뇰의 가톨릭교회교리서 해설
- 교회법아 놀자
- 전달수 신부의 묵시록 연구
- 청소년 영성
- 길거리 피정
- 재미있는 전례 이야기 ‘전례 짬짜’
-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Ⅱ
- 성서해설
- 복음해설
- 훠꼴라레 생활말씀
- 성좌의 소리
- 정영식 신부의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 영성으로 읽는 성인성녀전
- 성숙한 신앙
- 대희년을 배웁시다
- 그리스도교 영성사
- 영성의 대가들
- 백민관 신부가 엮는 신약성서 해설
- 지상 신학강좌
- 바오로 서간 해설
- 유충희 신부의 '바오로 서간' 해설
- 정영식 신부의 신약성경 읽기
- 주뻬뻬 수녀의 복음묵상
- 성서말씀나누기
- 교부들로부터 배우는 삶의 지혜
- 교부들의 가르침
-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 영성의 대가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