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수원교구 시복시성추진위 ‘김대건 신부 가계의 거처와 신학교 생활과 사목활동’ 심포지엄

이주연 기자
입력일 2021-11-02 수정일 2021-11-02 발행일 2021-11-07 제 3268호 3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성 김대건 신부 생애와 활동 다각도로 조명
“김대건 신부의 복사는 순교자 이병교 레오” 주장
연구 미비했던 김대건 신부 교회행정 집중 분석
김대건·최양업 배출한 조선신학교 의미도 살펴

10월 28일 수원 정자동주교좌성당에서 열린 김대건 신부 탄생 200주년 기념 심포지엄 중 발제자와 논평자들이 자리한 가운데 논평 및 질의응답 시간이 진행되고 있다.

조선왕조 치하 순교 133위 ‘하느님의 종’ 이병교 레오 순교자와 성 김대건 신부의 복사 이의창 레오가 동일 인물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김대건 신부가 부주교 역할까지 감당하며 교회 운영을 점조직으로 운영하고 신학생들을 육성했다는 내용이 나왔다. 김대건·최양업 신부가 교육받은 조선신학교 기원과 이동 및 변화 과정도 규명됐다.

수원교구 시복시성추진위원회(위원장 양태영 신부)는 10월 28일 수원 정자동주교좌성당에서 ‘김대건 신부 가계의 거처와 신학교 생활과 사목활동’을 주제로 제7차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성 김대건 신부의 생애를 다방면으로 조명했다.

심포지엄은 김학렬 신부(수원교구 원로 사목자), 김정숙 교수(데레사·영남대 명예교수), 원재연 교수(하상바오로·인천대 인천학연구원) 발제와 이석원 연구실장(프란치스코·수원교회사연구소), 서종태 원장(스테파노·해미국제성지 신앙문화연구원), 김동원 신부(동아시아복음화연구원 원장) 논평 및 질의응답으로 이뤄졌다. 논평 및 질의응답 좌장은 정종득 신부(수원교구 교회사연구소 소장)가 맡았다.

김학렬 신부는 「성 김대건 신부님의 복사 이의창 레오 순교자」를 주제로 잘 알려지지 않았던 김대건 신부의 복사 ‘이의창 레오’와 그 가계(家系)에 대해 연구한 내용을 발표했다.

김 신부는 “이의창은 1845년 1월 김대건 부제의 입국 초부터 그의 복사가 되어, 이후 상해로 가서 신품을 받고 돌아올 때까지도 항상 동행한 김대건 신부의 가장 가까운 협력자 중 한 명”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존에 알려진 사료와 더불어 족보 자료, 교회의 여러 기록들을 ‘가계’ 중심으로 면밀히 연구한 결과, 133위 ‘하느님의 종’ 이병교 레오 순교자와 이의창 레오가 동일인”이라고 밝혔다.

「신부의 사목활동과 그 가족의 생활」을 주제로 발표한 김정숙 교수는 그간 연구가 미비했던 김대건 신부의 성사 및 교회 행정, 사목 활동을 비롯해 김대건 신부 모친과 그 가족의 생활을 체계적으로 다뤘다. 김 교수는 “김대건 신부는 탁월한 능력으로 교회 업무를 처리하면서 조선교회 부주교 역할까지 감당해 냈다”며 “고 우르술라와 동생의 생활을 통해 김대건 신부의 교회에 대한 전적인 봉헌과 가족 간 절제된 사랑을 볼 수 있다”고 짚었다.

원재연 교수는 「한국교회 최초의 해외 유학생 김대건과 최양업의 신학교육에 대하여」를 발표하고 김대건 신부 동료 일행의 해외 유학에 대한 그간의 연구 내용을 정리했다. 원 교수는 “김대건·최양업 신부를 배출한 조선신학교는 뒤이어 실시된 ‘국내 도제식 사제교육’과 ‘국내 신학교 교육’의 크고 튼튼한 기초를 마련했으며 오늘날 한국 가톨릭 신학교의 모태가 됐다”고 평가했다.

심포지엄을 마무리하며 총평에 나선 이용훈 주교는 “최양업 신부님과 김대건 신부님 두 분은 한국교회의 큰 기둥이며, 이분들이 밑거름이 돼 한국교회가 오늘날 큰 그늘이 됐다”며 “김대건 신부님과 최양업 신부님 탄생 200주년에 맞춰 준비된 자리가 한국 사회에 두 분 행적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주연 기자 miki@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