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고통 앞에서 중립은 없습니다.”
이 말은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남기신 말씀입니다.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이듬해, 한국을 방문하신 교황님은 124위 시복미사가 열린 광화문 광장에서 세월호로 딸을 잃은 김영오 씨를 만나 따뜻하게 안아 주셨습니다. 그리고 김영오 씨가 건넨 세월호의 상징인 노란 리본을 직접 가슴에 달았습니다.
한 기자가 “교황님이 너무 정치적인 거 아닙니까?”라고 묻자, 교황님이 대답하셨습니다. “인간의 고통 앞에서 중립은 없습니다.” 이 만남 이후 김영오 씨는 세례를 받고 가톨릭신자가 됐습니다.
이처럼 교황님이 보여주신 경계 없는 위로와 같이, 교구 사별가족 돌봄 모임 ‘치유의 샘’에도 장벽은 없습니다. 남자든 여자든, 나이가 많든 적든, 천주교 신자이든 아니든, 사랑하는 이의 죽음을 경험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함께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상실의 고통은 누구에게나 찾아오고 또한 그 고통 속에서 일상을 다시 살아갈 용기와 희망은 누구에게나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지난 5월에 마친 ‘치유의 샘 1기’에는 종교가 없는 분도, 열심한 개신교 신앙인도 있었습니다. 우리는 함께 미사를 봉헌하며 세상을 떠난 이들이 하느님의 품 안에서 안식을 누리도록 기도했고, 남겨진 우리가 서로를 지지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청했습니다. 그리고 그 안에서 서로의 다름을 뛰어넘는 일치를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루카복음에서 예수님은 율법교사에게 묻습니다.
“너는 이 세 사람 가운데에서 누가 강도를 만난 사람에게 이웃이 되어 주었다고 생각하느냐?”(루카 10,36)
사제도, 레위인도 초주검이 된 동족을 보고도 못 본 척 길을 돌아갔지만, 유다인들에게 이민족처럼 취급받던 사마리아인은 그를 살리기 위해 자신의 것을 내놓습니다. 자비를 베풀고 사람의 생명을 살리는 데 다른 아무것도 장애물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보여준 것입니다.
“가서 너도 그렇게 하여라.”(루카 10,37)
예수님은 하느님의 자녀인 우리도 착한 사마리아인처럼 살기를 바라십니다. 자녀를 잃고 슬픔에 빠진 아버지를 위로하며 따뜻하게 안아준 교황님처럼, 죽음의 고통 속에 있는 이를 살리고자 끝까지 동행했던 착한 사마리아인처럼, 서로의 다름을 뛰어넘는 형제애로 “모든 이에게 모든 것”(1코린 9,22)이 되어 살아가도록 말입니다. 그것이 우리가 누구에게나 비를 내려주시고 해가 떠오르게 하시는 자비로운 하느님 아버지를 닮는 길이 아니겠습니까?(마태 5,43-48 참조)
글 _ 허규진 메르쿠리오 신부(수원교구 제2대리구 복음화3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