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서울 맹인선교회 '중복장애자문제에 관한 세미나' 강영우 박사 강연 요약

강우영 미국 일리노이주립 대학 강사
입력일 2020-02-07 15:12:44 수정일 2020-02-07 15:12:44 발행일 1986-08-17 제 1518호 4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중복장애자 재활의 긴급과제
능력ㆍ독특한 요구 측정 선행돼야
궁극목표는 사회에의 완전 복귀
서울 가톨릭맹인선교회(회장=나종천ㆍ지도=호문택 신부)는 지난 8월 9일 오전 11시 서울 강남구 역삼동소재 청음회관에서「중복장애자 재활의 긴급과제」라는 주제로 제 1회 맹인문제 세미나를 개최했다. 한국청각장애자복지회 후원으로 열린 이번세미나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중복장애자문제에 관한 세미나라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보았다. 다음은 이번세미나의 기초강연을 담당한 강영우 박사의 「중복장애자 재활의 긴급과제」강연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1. 중복장애자교육의 근거

1) 인간의 존엄성: 미국사회의 최고 가치관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존중이라 하겠다. 이것은 인간이 하느님의 모상대로 창조되었다는 기독교의 가치관이 세속화한 것이라 하겠다. 중복장애자도 한 인간으로서 마땅히 존엄과 가치를 보장 받아야 한다는 것이 중복장애자 교육의 첫 번째 근거가 된다 하겠다.

2) 투자의 효율성: 중복장애자의 경우 재활시키지 않으면 본인은 물론 일생동안 중복장애자를 보살펴야하는 가족과 사회에 크나큰 낭비를 초래하기 때문에 더 큰 소실을 막기 위해 중복 장애자의 재활을 실시해야 한다고 하는 것이다.

2. 재활의 방법

1) 현재의 요구측정: 중복장애자라 하더라도 장애자 상호간은 물론 개인의 차이가 있기 마련이다. 종래의 교육은 사람과 사람을 비교하거나 사회규범에 사람을 비교하는 절대 평가방식 이었으나 1957년 소련의 스푸니크 발사 후 미국의 교육개혁을 위해 개최된 「우두흘」커터런스 이 후 개인 대 개인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새로운 교육이념이 제시되었다.

달란트의 비유에 있어 주인이 맡긴 다섯 달란트ㆍ두 달란트ㆍ한 달란트는 각기 능력을 말하며 종들이 불린 또 다른 다섯 달란트ㆍ두 달란는 각기 성취를 말한다.

한 달란트를 받고 땅에 묻어둔 종을 책하는 하느님은 그가 두 달란트 또는 다섯 달란트로 불리지 못했다고 해서 책한 것이 아니라 1달란트일 망정 그것을 묻어둔데 대하여 나무라는 것이며 그가 다만 한 달란트만이라도 성취하였다면 하느님은 만족스럽게 여겼을 것이다.

중복장애자는 한 달란트만을 받은 종에 비길 수 있겠다. 받은 만큼 성취하면 성공이다. 이러한 준거에 의하여 능력과 독특한 요구를 먼저 측정하여야한다.

2) 재활의 목적설정: 사기능력과 독특한 요구에 근거하여 각기 그에 맞는 재활의 목적을 설정하여야한다.

여러 가지 재활의 목적 중에 빼놓을 수 없는 것 하나를 지적한다면 그것은 고통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가치교육이라 하겠다. 세상은 필연적으로 고통과 역경이 있게 마련이다. 특히 중복장애자에게 더 많은 역경이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역경을 딛고 일어서는 가치의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가치교육의 근본은 하느님의 자녀 된 자들은 세상을 이긴다. 그리고 그것은 하느님의 모상대로 창조된 인간은 창조와 사랑ㆍ평화ㆍ진리ㆍ용기 등 하느님의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는 믿음에 근거를 두고 있다.

3) 전문직자 팀의 구성: 별이 홀로 있을 때는 미미하나 함께 빛날 때는 능히 어두운 밤길을 밝힐 수 있다. 중복장애자에 대한 개별서비스는 미약하나 팀으로 이루어질 때는 장애자의 독특한 요구를 총족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4) 가능한한 통합: 장애자 재활의 완전복귀이다. 중복장애자라 할지라도 가능한 한 사회통합을 이루도록 노력해야 한다.

5) 구체적 방법: ①진단처방 접근방법: 장애자 한 사람 한 사람을 진단해서 정밀을 기한다.

②정밀성: 가르친 내용을 분석하고 세부적으로 정밀을 기한다.

③재활의 도구 활용: 되도록 많은 도구들을 활용하여야 한다. 그중에서 특히 마이크로 컴퓨터의 활용이 요긴하다. 중복장애자 재활에 있어서는 무한한 인내와 이해심이 필요하다.

이점에 있어 마이크로컴퓨터는 사람보다 더 많은 인내를 가지고 동일과정을 반복 시행해 준다. 중복장애자의 잔존감각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구들이 사용될 때 큰 교육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강우영 미국 일리노이주립 대학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