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 사고 위험 높은 노후 원전 2012년 수명 끝나도 연장 가동 “정부, 탈핵 공약 조속히 실행을”
수명 연장 문제로 갈등을 겪어 온 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이하 ‘월성 1호기’) 폐쇄가 확정됐다.
한국수력원자력은 6월 15일 서울 홍은동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이사회를 열고 설계 수명을 연장해 가동 중인 월성 1호기 폐쇄를 의결했다. 월성 1호기 폐쇄와 더불어 새롭게 건설을 준비 중이던 천지 1·2호기, 대진 1·2호기 등 4기의 신규 원전 사업도 종결이 결정됐다. 1983년 가동을 시작한 월성 1호기는 2012년 이미 30년 수명을 다했지만 2015년 2월 원자력안전위원회가 2022년 11월까지 수명을 연장해 가동 중이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6월 10일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서 노후 원전의 위험성을 지적하며 “월성 1호기는 전력 수급 상황을 고려해 가급적 빨리 폐쇄 하겠다”고 밝혀 조기 폐쇄가 예견돼 왔다. 월성 1호기의 수명 연장을 지속적으로 비판해 온 교회 안팎의 환경운동단체들은 이번 폐쇄 결정에 대해 “늦었지만 환영한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녹색연합(상임대표 조현철 신부)은 6월 15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월성 1호기 폐쇄 조치는 그동안 탈원전과 안전한 에너지를 요구해 온 시민사회와 지역주민들의 노력과 행동의 결과”라고 강조했다. 또한 “월성 1호기는 방사성물질인 삼중수소가 타 원전에 비해 30배 이상 배출되고 고장 사고의 위험도 매우 높았던 노후 원전”이라며 “이번 폐쇄를 계기로 수명을 다한 노후 원자력발전소의 수명 연장을 금지하는 법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천주교창조보전연대 상임대표 양기석 신부 또한 “월성 1호기는 편법으로 연장된 원전으로 이번 결정은 조기 폐쇄가 아닌 무리한 수명 연장을 포기한 결정으로 봐야 한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문재인 정부가 울진 신한울 3·4호기까지 신규원전 6기 백지화를 약속했음을 언급하며 “과거 정권에 비해 진일보한 면이 있지만 여전히 처음 공약보다 후퇴하거나 변화가 더딘 모습들이 보인다”고 지적해 탈핵 공약의 조속한 실행을 촉구했다.정다빈 기자 melania@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