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기획 / 남북 교류 정책 역행에도 민족화해 위한 교회 노력 계속돼야

민경화 기자
입력일 2023-12-19 수정일 2023-12-19 발행일 2023-12-25 제 3373호 4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한반도 평화·화해에 대한 관심 높아지길
법질서 정립이라는 명분으로 
민간 차원 교류 차단 움직임
평화 교육·포럼·DMZ 순례 등
평화와 통일에 대한 의식 고취
“평화, 하느님 나라 건설 토대”

지난 10월 22일 수원교구 민족화해위원회 2023년 DMZ평화순례 중 철책을 따라 걷고 있는 참가자들. 수원교구 민족화해위원회 제공

재일 조선학교에 대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드는 감독과 제작자, 조선학교를 지원하는 민간 단체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이하 조총련) 인사를 무단 접촉했다는 이유로 통일부 조사를 받았다. 남북교류협력법에 따라 북한 주민과 접촉하려면 통일부에 미리 신고해야 하는데, 이들은 사전 신고하지 않았다며 경위 파악에 나선 것이다. 한편 조총련 소속이더라도 한국 국적자인 경우에는 접촉 신고 대상이 아니고, 예상치 못하게 접촉하게 된 경우 사후에 신고할 수 있다는 남북교류협력법을 근거로 당사자들은 ‘남북 교류를 원천 차단하려는 것’이라고 반발했고, 통일부는 ‘법질서 바로 세우기’라는 입장으로 맞섰다. 조선학교 학생의 80% 이상은 한국 국적으로 알려져 있다.

대북교류 단체와 인사들은 규정대로 접촉 신고서를 사전에 제출해도 통일부가 이를 수리하지 않는 방식으로 민간 차원의 남북 교류를 차단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각 교구 민족화해위원회에서 활동하는 신부와 수녀들도 올해 들어 통상적인 활동에 제약이 커진 것을 체감한다고 입을 모았다.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되면서 북한에 대한 종교적 차원의 접근이 거의 불가능해진 것이다.

힘에 의한 평화를 주창하며 북한과의 소통과 협력을 차단하자, 우리 사회에는 분열과 적대감만 남았다.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3’에 따르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의 포용 정도가 외국인 이민·노동자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북한이탈주민을 ‘수용 못한다’는 응답은 2022년 22.2%로 2016년(12.1%)보다 크게 증가했고, 외국인 이민·노동자 ‘수용 못함’ 비율(10%)의 2배에 달했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감정거리는 40.3점으로 전과자, 성적 소수자, 낯선 사람을 포함한 12개 집단 중에 9위를 차지했다. 국내거주 외국인(44.5점)보다 낮은 순위다. 연령이 낮을수록 성적 소수자나 국내거주 외국인에 대한 감정이 좋은 편이나,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연령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 특징을 보였다.

이 같은 북한에 대한 인식은 교회의 통일사목에도 눈에 띄는 변화를 가져왔다. 평화와 통일 의식을 고취하고자 마련한 의정부교구 민족화해학교의 경우 2016년 1단계 참가자가 3000명에 달할 정도로 관심이 높았지만 올해는 신청자가 없어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 총무 강주석(베드로) 신부는 “신자들의 통일문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것을 넘어 최근에는 무관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우려를 표시했다.

정치적·군사적 상황과 별개로 그리스도인은 이 땅에서 평화의 예언자가 돼야 한다고 사목자들은 조언했다. 평화를 향한 노력이 하느님 나라를 건설하는 토대이기 때문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6·25전쟁 정전 70주년(7월 27일)을 맞아 “정전 70주년을 기념하는 일이 적대행위 중단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한반도는 물론 참으로 더 넓은 세상을 향해 화해, 형제애, 항구한 화합의 밝은 미래까지도 제시할 것이라 믿는다”고 강복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강주석 신부는 “대북정책이 달라질 때마다 교회의 통일사목도 부침을 겪지만 변함없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평화를 위한 기도 운동과 캠페인과 순례를 포함한 평화 교육”이라며 “미국, 일본 교회와 함께 한반도평화포럼을 개최해 세계교회에 한반도 문제를 알리는 것도 교회 안에서 할 수 있는 노력”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두려움과 증오로 갈라진 이 땅에 모두를 구하러 오신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우리가 한반도 평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관심을 가지고 실천에 동참할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민경화 기자 mkh@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