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현장에서]역사의 교훈을 거슬러 / 박영호 기자

박영호 안드레아 기자
입력일 2022-03-22 수정일 2022-03-22 발행일 2022-03-27 제 3287호 27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3월 9일 대선 후 국내 환경단체들의 성명과 기자회견이 봇물 터지듯 나왔다. 그린피스와 녹색연합이 10일 성명을 발표해 핵발전 중심 에너지 구조 전면 폐기를 요구했다. 대전, 부산 등 지역 환경단체들도 같은 날 당장 핵발전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 환경단체들은 대선을 앞두고 ‘기후대선’ 캠페인을 간절하고 격렬하게 진행했지만 결국 이번 대선에서 기후위기와 환경 문제는 뒷전이 됐다. 그리고 5월 출범하는 새 정부는 현 정부가 미흡하게나마 유지해왔던 ‘탈핵 정책’을 폐기하겠다고 천명한다. 대선 이틀 뒤인 11일 일본 후쿠시마 핵사고 11주기를 맞았다. 강산이 한 번 변한다는 10년을 넘었지만 지금도 후쿠시마에는 사람이 살 수 없고 매일 170톤 이상의 방사능 오염수가 새롭게 생겨나고 있다.

그리고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려 하고, 전 세계는 기후위기 대안으로 핵발전을 내세우고 있다. 그런 와중에 이제 우리나라는 이름뿐이던 탈핵조차 폐기하고 중단된 신울진 3·4호기 건설 재개와 사용 연한이 끝난 핵발전소 계속 사용 등 핵발전 확대를 공언하고 있다.

후쿠시마를 비롯해 체르노빌, 스리마일 등에서 일어난 사고는 핵발전의 위험성을 명백하게 경고한다. 일자리와 경제 성장, 토건 사업과 수출 증대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것이 후쿠시마 등의 역사적 교훈이 주는 엄청난 위험성을 감수할 일은 아니다. 더욱이 기후위기 대응은 위험한 핵발전이 아니라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으로만 가능한 일이다.

박영호 안드레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