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

[생활 속 영성 이야기] (43) 나의 모든 시간에 함께하시는 하느님

고유경 (헬레나·ME 한국협의회 총무 분과 대표),
입력일 2020-11-03 16:11:49 수정일 2020-11-03 16:27:41 발행일 2020-11-08 제 3218호 16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내가 너와 함께 있겠다”
돌아보면 도운이를 키우는 동안 하느님은 늘 나와 함께하시며
도운이에게 필요한 것들을 내 손에 쥐여 주셨다
기쁨터라는 이름으로 용기와 담대함과 지혜로 꼭 필요한 정보를 준 루칠라 자매로…

하느님은 왜 나에게 장애가 있는 아이를 주셨을까? 이 질문은 내게 참 오래된 질문이고 아직 답을 찾지 못한 질문이다. 둘째 도운이에게 장애가 있을 수 있다는 판정을 받은 때는 세 돌 무렵이었다. 우리는 이미 그 일 년 전부터 도운이가 다른 아이들과 다르다는 생각을 하면서 걱정을 했지만, 그저 늦된 아이일지 모른다는 실낱같은 희망을 품고 있던 때였다.

발달장애라는 진단을 받고도 열심히 치료하면 초등학교에 들어갈 무렵에는 장애에서 말끔히 벗어날 수 있을 거라는 근거 없는 믿음으로 열심히 치료에 매달렸다. 내가 설정했던 마지노선인 초등학교 입학이 불과 2년 앞으로 다가온 때였다. 그때 도운이의 변화 속도로 볼 때 초등학교에 들어갈 때까지 발달장애에서 벗어나기는 불가능할 거라는 걸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그때는 내 몸과 마음이 모두 지치고 희망도 점점 사라져 앞길이 막막하기만 했다. 인생이 끝난 것 같았고 과연 사는 게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각까지 했다.

절망의 나락으로 깊이깊이 빠져가던 내게 노아의 눈앞에 나타난 무지개처럼 ‘기쁨터’가 나타났다. 어느 날 무심코 들여다본 지역신문에서 ‘기쁨터’라는 세 글자를 발견했을 때 뒤통수를 한 방 맞은 것처럼 멍한 느낌이었다. 발달장애아를 키우는 부모들의 자조 모임 이름이 기쁨터라니? 장애아를 키우는데 어떻게 기쁠 수 있을까? 궁금했다. 바로 그곳을 찾아갔다. 거기엔 많은 엄마들이 있었고 처음 보는 나를 신기한 듯 바라보면서도 진심으로 반겨주었다. 그날 그곳에 있었던 엄마들도 아기 바구니를 들고 계단을 내려오던 내 모습을 오래 기억하고 있다.

이 모임은 특수학교 학부모들이 아이들 등교시키고 교문 앞에 남아 심란한 이야기를 주고받다가 누군가 우리 함께 기도하면 어떻겠냐는 제안을 해 가까운 성당에서 매일 기도하던 기도 모임에서 시작되었다. 그렇게 시작한 모임이 이제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마을을 꿈꾸며 말 그대로 기쁜 마을 ‘조이 빌리지’(joy village)를 만들어 가고 있다.

암울하던 그 시절 기쁨터 언니들을 만나며 장애아를 키우면서도 살 만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때론 기쁠 수도 있다는 걸 깨달았다. 나보다 앞서 아이를 키우고 있는 언니들이 주는 위로와 공감을 듬뿍 받으며 상처받은 내 영혼이 조금씩 치유되어 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기쁨터는 절망에 빠진 나에게 하느님이 주신 위로였고 귀한 선물이었다.

도운이가 미술고등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교육청에 배정을 요구했을 때 학교는 모든 학생이 시험을 통해 들어오는데 교육청이 일방적으로 배정한 장애 학생을 받을 수 없다며 입학을 거부했다. 그때 나는 주님께 용기를 청하고 학교에 찾아갔다. 아이의 그림들을 보여 주며 그림에 재능이 있으나 장애 때문에 학업 성적을 잘 받지 못한 도운이에게 입학 기회를 주지 않는 것이 공정한 일인지, 아니면 장애로 인한 차이를 인정하고 그 차이만큼 기회를 주는 것이 공정한 결정인지 물었고 학교는 입학을 허가했다. 하느님께서는 내가 청한 용기에 더해 담대함과 지혜도 함께 주셨다.

어느 날 성당 ME모임에서 도운이가 미술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게 되었는데 그 말을 들은 한 자매가 자신이 근무하는 장애인 복지관에 도운이 같은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있다며 담당자를 소개해 주었다. 그곳에서 도운이는 난생처음 전시회에도 참여하게 되었고 작가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닦을 수 있었다. 도운이는 이제 스물여섯 살 청년으로 자랐고, 그림을 그리는 작가가 되어 벌써 여섯 번째 개인전을 열고 있다.

돌아보면 도운이를 키우는 동안 하느님은 늘 나와 함께하시며 도운이에게 필요한 것들을 내 손에 쥐여 주셨다. 기쁨터라는 이름으로, 용기와 담대함과 지혜로, 도운이에게 꼭 필요한 복지관 정보를 준 루칠라 자매로.

이제 하느님이 내게 왜 장애가 있는 아이를 주셨는지 더 이상 궁금하지 않다. 하느님이 내게 왜 한결이, 새온이, 채운이를 주셨는지 궁금하지 않은 것과 같다. 다만 하느님께서 도운이를 키우는 모든 시간에 나와 함께하셨음을 나는 분명히 안다.

고유경 (헬레나·ME 한국협의회 총무 분과 대표),

기자사진

고유경 (헬레나·ME 한국협의회 총무 분과 대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