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한담

[일요한담] 약아빠진 인간들의 어리석음 /황광지

황광지(가타리나) 수필가
입력일 2017-10-24 18:21:39 수정일 2017-10-24 21:34:13 발행일 2017-10-29 제 3067호 23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심상치 않은 제목에 끌려 이시백의 소설 「나는 꽃 도둑이다」를 읽었다. 민초들을 서술하는 작가의 말솜씨에 찬사를 보냈다. 약아빠진 인간들의 됨됨이가 슬프고도 웃음이 터져 나왔다. 청계천 주변에서 가까이 지내온 이웃끼리 만든 친목계. 그 밑바닥 떨거지들의 이해타산과 지나친 잔머리가 덫이 되어 궁지에 떨어지는 어리석음.

이율배반적 속성을 띤 민중은 서로 약소자이면서도, 그 사이에서 상대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온갖 경쟁을 마다하지 않는다. 내가 하면 정당방위이고 남이 하면 폭행이 되는 것, 넘치고 넘치는 윤리의 부재와 혼돈을 소설에서 풍자하고 있다.

청계천 복원사업을 기념하는 전 시장의 명판이 사라진 사건으로, 친목계원들은 시시콜콜한 일상을 야비하게 진술하며 주위의 사람들을 죄인으로 끌어들인다. 느닷없이 안 목사를 죄인으로 진술하고, 졸지에 소환된 안 목사는 명판 도둑이 아닌 ‘꽃 도둑’임을 자백한다. 공공근로에 참여한 안 목사의 아내는 청계천 주변 화단에 심다 시들어 버려진 화초를 가져와, 살려내고 팔아서 끼니를 이었다. 너무 힘들 때는 시들지 않은 화초도 가져왔다. 국가는 태평성세를 외치지만, 영악하지 않은 민초들은 목구멍에 풀칠하기조차 불가능했다. 안 목사는 남은 화초라도 화단으로 되돌리려 하다가 결국 죽게 된다.

‘아무도 물가에 쓰러진 노인의 이야기나, 해 질 무렵이면 그 자리에 혼자 앉아 망연히 흐르는 물을 바라보는 미망인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았다.’ 청계천에는 축제가 열리고 스피커 소리는 고막을 자극하지만, 적막하고 냉엄한 현실은 그대로일 뿐이다. 나는 인간들이 얄밉고 처량했다.

황광지(가타리나) 수필가

기자사진

황광지(가타리나) 수필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