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 사람이 만나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인사’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서로 만나거나 헤어질 때는 인사를 하면서 서로의 안부를 확인한다. 교회는 오랜 역사 속에서, 만남의 첫 단추이자 마지막 단추인 이 인사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교회의 역사가 긴 서양 국가 중 많은 수가 인사말을 통해 하느님의 축복을 기원했다. 그 대표적인 말이 ‘굿바이’(Goodbye)다. 어린 아이들도 ‘빠이빠이’(Bye-bye)라는 인사를 사용할 정도로 우리에게도 친숙한 말이다.
‘굿바이’의 ‘굿(good)’은 ‘좋은’이라는 의미로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하느님(God)이란 말에서 왔다. ‘굿바이’가 하느님이 곁에서 축복해주시기를 비는 고대영어(God be by ye 또는 God by ye)가 변형된 것이기 때문이다. ‘굿모닝’(Good-morning), ‘굿이브닝’(Good-evening), ‘굿나잇’(Good-night)도 같은 맥락이다.
스페인어에서 헤어질 때 인사말인 아디오스(Adios), 바이아 콘 디오스(Vaya con Dios)도 ‘하느님께로’, ‘하느님과 함께 가라’라는 의미다. 프랑스어에서 긴 이별을 할 때 사용하는 인사말 ‘아듀’(Adieu)도 ‘하느님 앞에서’라는 뜻이다. 다시 말해 다시 만나기 어려운 이에게 ‘하느님 앞에서 다시 만나자’고 기약하는 말이다.
1984년 방한 당시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우리나라를 두루 방문하고 신자들을 만날 때마다 우리 교회에서 탄생한 인사말로 인사했다. 바로 ‘찬미예수’다. ‘예수를 찬미합시다’(laudate Jesum)를 줄인 인사말 ‘찬미예수’는 박해시대에 탄생해 이어오는 우리 신자들 고유의 인사다.
‘찬미예수’가 정확히 언제부터 사용됐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1862년 미리내에서 사목하던 파리외방전교회 칼레 신부가 작성한 서한에 따르면, 선교사들은 ‘찬미예수’라는 인사를 장려하고 이를 통해 잠벌을 일부 면해주는 ‘한대사’를 얻을 수 있게 했다.
신앙선조들은 ‘찬미예수’라 인사하고 ‘아멘’이라 응답하는 인사말을 사용했다. 신자들은 신분도 성별도 가리지 않고 이 인사말을 사용하면서 우리가 본받아 따르고 찬양해야 할 분이 누구인지 늘 기억했던 것이다.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