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성탄대축일이 다가온다. 거리에 세워진 트리 앞에서는 종교를 불문하고 많은 이들이 기념사진을 찍으며 크리스마스의 분위기를 한껏 즐긴다.
언제부터 대림·성탄시기에 나무를 장식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16세기 경 독일 남서부지역의 기록에서 초기 크리스마스트리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당시 이 지방에서는 성탄을 맞아 성당 앞 정원 등에서 낙원극(樂園劇)을 공연했다. 연극 중에는 에덴동산의 ‘생명의 나무’(창세 1,9)를 상징하는 상록수에 과자를 달고 나무 주위에 촛불을 켰다고 한다.
1700년대에 들어서 개신교 신자들이 나무에 촛불을 장식하면서 성탄을 맞았고, 19세기에 들어서 크리스마스트리는 천주교, 개신교를 떠나 독일 성탄절의 가장 주요한 풍속 중 하나가 됐다. 전 유럽으로 퍼진 크리스마스트리 풍속은 미국에도 영향을 줘 1891년에 처음으로 워싱턴 백악관에도 크리스마스트리가 전시됐다.
크리스마스트리는 사철나무 중에서도 주로 전나무가 사용됐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세계 크리스마스트리의 95%가 우리나라에서 유래한 ‘구상나무’를 사용한다. 구상나무는 우리나라의 한라산과 지리산 등지에 서식하던 한국 고유의 나무로 서양에서는 ‘한국 전나무’(Korean Fir)라고 불린다. 구상나무가 성탄마다 세계인의 사랑을 받게 된 계기도 교회와 관련이 있다. 바로 이 나무를 세상에 알린 것이 우리나라에서 선교하던 에밀 타케(Emile Taquet) 신부이기 때문이다.
1898년 한국을 찾아 1952년 선종하기까지 경상도, 제주도 일대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 헌신하던 그는 현재 대구대교구 성직자묘지에 묻혀 있다. 식물학에 관심이 많던 타케 신부는 1907년 채집한 구상나무표본을 미국 하버드대 아놀드식물원에 보냈다. 이것이 뒤늦게 연구되면서 1920년 구상나무가 신종으로 발표된 것이다. 구상나무는 재질이 뛰어나 가구 제작과 건축에 사용됐고, 고급 조경수로, 특히 크리스마스트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