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속나는누구인가?(종료)

성경 속 나는 누구인가 (25) 선택은 우리 몫

신교선 신부
입력일 2014-11-18 03:30:00 수정일 2014-11-18 03:30:00 발행일 2014-11-23 제 2920호 18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허겁지겁 이집트를 빠져나온 이스라엘 백성은 거친 광야의 삶에 점차로 지쳐갔다. 배고픔과 목마름, 뱀과 전갈 등 독을 뿜어내는 동물의 공격, 여러 질병 등이 그들을 괴롭혔다. 지친 이스라엘이 모세에게 불평한다. 모세는 백성을 대신해서 주 야훼께 부르짖는다. 그러면 그분께서 어여삐 여기시어 모세의 기도를 즐겨 들어주신다. 이러한 과정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백성의 불평-(모세의) 중재기도/청원기도-야훼의 구원’

‘백성의 불평-모세의 중재기도-야훼의 구원’ 도식이 그대로 드러나는 예를 본다. 이스라엘이 갈대바다를 통과해서 수르 광야에 이르러 사흘 동안이나 걸었는데도 물이 없었다. 마침내 마라라는 곳에 이르는데 그곳 물은 써서 마실 수가 없어서 그 이름을 ‘마라’라고 불렀다는 곳이다. 그때 백성이 모세에게 목마르다고 불평한다. 모세는 지체 없이 주님께 부르짖는다.

“주님께서 나무 하나를 보여주셨다. 모세가 그것을 물에 던지자 그 물이 단물이 되었다”(탈출 15,25).

먹을 것이 없어 배고파 죽겠다고 부르짖으며 불평을 털어놓던 이스라엘의 예를 들어본다. 이집트를 탈출한 뒤 두어 달 되어갈 때 이스라엘인들은 시나이 신 광야에 이른다. 그들은 모세와 아론에게, 그때까지 참아오던 불평을 터뜨린다. 광야 삶에 지쳐 더 이상 꼼짝달싹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들의 불평은 다음 구절에서 절정에 이른다.

“이집트 땅에서 주님의 손에 죽었더라면!”(탈출 16,3ㄴ)

결국 주님께서는 지체 없이 일용할 양식으로 만나와 메추라기를 비가 내리듯 풍족하게 내려주신다. 이스라엘이 광야 한 가운데서 주님 자비를, 구원의 은총을 맛보게 된다.

신 광야를 떠나 르피딤에 진을 친 이스라엘 백성은 마실 물이 없어 모세에게 물을 달라고 야단들이었다. 모세가 주님께 어찌 해야 하느냐고 부르짖자 주님께서 말씀하셨다.

“호렙의 바위를 지팡이로 치면 물이 터져 나오리라”(탈출 17,5-6 참조).

이스라엘이 하느님의 현존을 시험하였다고 하여 그곳을 ‘마싸와 므리바’라 부르게 된다. 이 장면에서도 ‘불평-모세의 중재기도-구원’ 도식이 그대로 성립된다. 광야는 불평의 장소이자 동시에 영원하신 분의 자비를 맛보는 곳, 은총 체험의 현장이다.

이제 ‘불평-심판’ 도식을 보자. 민수기에는 불 뱀과 구리 뱀 이야기가 나온다. 이스라엘 백성이 조급해져 하느님과 모세에게 불평한다.

“당신은 어쩌자고 우리를 이집트에서 올라오게 하여, 이 광야에서 죽게 하시오? 양식도 없고 물도 없소. 이 보잘것없는 양식은 이제 진저리가 나오”(민수 21,5).

이렇게 이스라엘이 주 하느님을 불신했기 때문에 주님께서 백성에게 불 뱀을 보내시어 많은 이들이 물려 죽게 된다. 여기서 ‘불평-심판’ 도식을 뚜렷이 보게 된다.

많은 이들이 뱀에 물려 죽게 된다. 불신에 따른 심판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물론 결국에는 심판으로 끝나지 않고 많은 이스라엘인들의 구원으로 이어진다. 백성이 모세에게 청한다.

“우리가 주님과 당신께 불평하여 죄를 지었습니다. 이 뱀을 우리에게서 치워주시도록 기도해주십시오”(21,7).

모세가 백성을 위해 주님께 간구하자, 주님께서 그의 중재기도를 들어주신다.

“너는 불 뱀을 만들어 기둥 위에 달아 놓아라. 물린 자는 누구든지 그것을 보면 살게 될 것이다”(21,8).

모세가 만들어놓은 구리 뱀을 쳐다본 이는 누구나 뱀에 물렸어도 생명을 구할 수 있게 되었다.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을 바라보고(믿고) 구원에 이르느냐 아니냐는 이제 우리 몫이 되었다(요한 3,14-15 참조).

신교선 신부는 1979년 사제수품 후, 스위스 루체른 대학교에서 성서주석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수원과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를 역임, 현재 주교회의 성서위원회 총무와 신앙교리위원회 위원, 인천 작전동본당 주임으로 사목 중이다.

신교선 신부

기자사진

신교선 신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