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소의 역사는 공소가 위치한 지역의 신앙의 역사와 일맥상통한다. 용인대리구 장호원본당(주임 한태문 신부) 소속 나래리공소에서 이어오는 신앙 이야기 역시 마찬가지. 지역 신자들의 손으로 직접 지은 나래리공소는 오랜 시간 지역 신앙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 나래리공소의 역사
1963년 교구 설정보다 앞서, 1960년 장호원본당 역시 설립되기 전인 1950년대, 청주교구 감곡본당의 관할 지역이었던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나래리. 당시 나래리 지역 신자들이 주일 미사를 봉헌하기 위해 소속 본당인 감곡본당을 찾아가려면 10km가 넘는 거리를 걸어서 가야만 했다. 길도 제대로 닦여 있지 않았던 시절, 연로한 신자들이 1시간30여 분 거리를 걸어 다니기란 쉽지만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을 안타깝게 여긴 신자들은 당시 구역장의 집에 모여 공소 모임을 시작했다. 공소의 첫 발걸음을 뗀 것. 이때 감곡본당에 부임해 있던 미국 메리놀외방선교회 신부들은 한 달에 한 번 꾸준히 이곳을 찾아 미사를 봉헌하기도 했다.
1960년도에 이르러, 새로운 공소 건물을 짓기로 결심한 신자들은 건축을 위한 모금활동을 시작했다. 신자들은 매년 쌀 한 말씩을 모았고, 가난한 살림에도 너나할 것 없이 동참했다. 더불어 지역 주민이 내어준 땅에 직접 블록을 찍고 쌓아가며, 1975년 완공에 이르기까지 힘을 모았다.
신자들의 땀방울이 모여 이룬 공소는 지역 신자들의 신앙의 사랑방 역할을 했다. 지역 토박이인 전임 공소회장 강명원(바오로·73)씨는 “당시 어르신들의 손에 이끌려 신앙생활을 더욱 굳건히 다질 수 있었다”며 “아울러 신앙을 꽃피웠던 그 시절, 이곳 공소가 지역 신자들을 모이게 하는 신앙의 중심지가 돼줬다”고 전했다.
■ 새로운 나래리공소를 꿈꾸며
현재 공소 건물은 1998년 새로 지은 건물이다. 1990년대 중후반 낡은 건물을 수리하고자 마음먹은 신자들은 또 다시 스스로의 힘으로 작업을 시작했지만, 곧 난관에 부딪혔다. 쌓아올렸던 블록을 뜯으려는 찰나, 오래돼 삭아버린 가장자리 벽이 무너져 내린 것이다. 결국 건물을 새로 짓게 됐다.
신자들은 다시금 모금활동을 시작했다. 품팔이를 하거나, 금반지를 팔아 건축기금에 보탰다. 신자들이 모은 돈만 2300만 원 정도. 본당에서 준 수리비 700만 원을 합해 새 건물을 지을 수 있었다. 공소에 배치할 성물과 기물들도 모두 신자들의 손으로 해결했다. 이처럼 지역 신자들의 신앙의 열의는 모든 것을 가능하게 했다.
공소의 신앙의 모습은 사제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본당에서 사목활동(2002~2005년)을 펼친 바 있는 류덕현 신부는 사제 소임에서 은퇴한 후, 이곳 공소 곁에 은퇴 사제들을 위한 사제관을 짓고, 지역 주민들과 어울려 미사를 봉헌하고 신앙을 가꾸는 삶을 소망하기도 했다.
또한 지역 내 마을회관이 지어지기 전에는 이곳 공소가 마을회관을 대신해 마을 주민들을 위한 열린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날이 갈수록 교통수단이 발달하면서 본당에 찾아가기가 쉬워짐에 따라, 지금은 공소의 존재와 역할이 유명무실해 지기는 했지만, 공소는 신앙의 전성기를 뒷받침했던 지역 신앙의 기반이었다.
현재 공소는 공소 예절도 없어지고, 지역 반모임과 레지오 회합, 판공성사 등의 장소적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나, 지역 신자들은 공소를 중심으로 신앙이 다시 새롭게 일어나기를 기대하고 있다.
강명원씨는 “공소가 활성화됐던 지난 시기를 기억하고 있는 많은 어르신들이 선종하신데다, 젊은이들은 돈을 벌기 위해 외지로 나가는 바람에 공소의 의미를 잊고 살게 되는 것 같다”며 “많은 지역 신자들이 공소를 통해 소속감을 갖고, 신앙생활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 우리 본당 주보성인
- 길에서 쓰는 수원교구사-퀴즈
- 교구 순교자를 만나다
- 교구 순교자를 만나다 - 퀴즈
- 선교지에서 온 편지
- 성지의 풍경
- 우리교구 이곳저곳
- 교구 본당의 역사를 따라-퀴즈
- 교구 본당의 역사를 따라
- 영성의 뿌리
- 기쁜 소식 퀴즈
- 순교자의 땅
- 함께 걷자 믿음의 길
- 공소의 재발견
- 성미술 순례
- 기쁜 소식
- 수원판 창간기념
- Go! 2013
- 남수단에서 온 편지
- 수원 수도회 이야기
- 내 손 안에 디딤길
- 내 손 안에 생활성가
- 나는 평신도다
- 최덕기 주교와 함께
- 가톨릭신문 수원교구 창간특집
- 명예기자의 눈
- 김남수 주교의 회고록
- 평신도 발언대
- 우리본당 이런소식
- 수원교구 성지에서 만나는 103위 성인
- 수단에서 온 편지
- 신자 경제인을 찾아서
- 한국교회 창립 선조를 찾아서
- 수단을 입으며
- 교구청 사람들 (수원)
- 소공동체 현장을 찾아서
- 소공동체 모임 자료
- 우리본당 이런사목
- 교구 열린마당
- 청소년과 함께 교회의 미래를
- 마중물
- 가톨릭신문으로 보는 수원교구 50장면
- 초대교구장 윤공희 대주교에게 듣는다
- 교구 단체를 찾아서
- 교구 복지시설을 찾아서
- 교구 신자 의식 조사 분석 보고서
- 길에서 쓰는 수원교구사
- 카리스마를 찾아서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