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는 왜 사순시기를 40일이나 지낼까. 예수님 고통 묵상하는 거야 3시간 이면 충분하지 않는가. 왜 40일 넘게 오랜 기간 이 문제에 대해 묵상하라고 하는 것일까.
가만히 성체 앞에 앉아서 예수님 고통을 체험하는 것은 2-3시간이면 충분하다. 우리가 삼위일체 예수님의 고난을 알면 얼마나 알겠는가. 내가 예수님 고난을 묵상으로 동참한다고 해서 예수님께 도움되는 것은 없다.
40일의 사순시기를 교회가 마련한 것은 이유가 있다. 예수님께서 고난받으신 이유 때문이다. 예수님의 고난은 이웃의 고난과 상처로 연장돼야 한다. 이웃의 고통을 마음 깊이 받아들여야 한다. 예수님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면 삶 속에서 예수님처럼 고통받는 이들을 찾아내 그들의 아픔을 덜어주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연민’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하느님 뜻과 조화되기 위해서는 먼저 하느님과 합치하고 주어진 상황과 융화를 이뤄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여기서 또 하나 간과해선 안 되는 것이 있다. 이웃에 대한 ‘연민’이 그것이다. 이 ‘연민’의 원리가 바로 우리가 사순시기를 40일 동안 길게 지내는 이유다. 순명하는 마음으로 ‘연민’을 발휘해야 한다. 내 생각으로 ‘연민’이 아니라 순명하는 마음으로의 ‘연민’이 중요하다.
성체조배는 성체 안에 계시는 예수님께서 외로울까 걱정돼서 하는 것이 아니다. 성체 조배실에 앉아 있어야, 세상에 나갈 힘을 주시기 때문에 그곳에 앉아 있는 것이다. 오대양 육대주로 나를 보내주시는 섭리를 깨닫기 위해 그곳에 앉아 있는 것이다.
성체 조배실은 예수님을 직접 만나고, 동시에 명령을 직접 하달받기 위해 가는 곳이다. 이렇게 예수님은 우리가 성체 조배실에 있을 때, 미사에 참례할 때, 성경 공부할 때 각각 다양한 ‘지시’를 주신다. 신앙인들은 그 지시를 따라서 사는 이들이다.
이러한 하느님의 지시들은 모두 하느님과의 합치, 주어지는 상황과의 융화, 이웃에 대한 ‘연민’이라는 그릇에 담긴다. 이 그릇을 만들어야 한다. 하느님은 사탕이나 빵을 주시는데 그릇이 없다면 받지 못한다. 그릇을 만들어 놓아야 한다. 합치의 그릇, 융화의 그릇, ‘연민’의 그릇이 있어야 한다. 미사를 하고, 성체 조배를 하고, 수도생활을 하는 것 자체가 이런 그릇들을 만드는 작업이다. 이 그릇으로 기쁘게 많이 받아야 하고, 받은 것을 이웃에게 나눠야 한다. 받아야 기쁘다. 내 그릇에 많아야 기쁘다. 그래야 기쁘게 나눌 수 있다.
동시에 지금까지 만든 그릇이 있다고 하더라도 자꾸 바꿔야 한다. 좀 더 큰 그릇으로 계속 교체해야 한다. 그리고 주시는 선물을 듬뿍듬뿍 받아야 한다. 그래야 피조물로서 세상을 향한 참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지금까지 영적 성장과 관련한 내용을 1년 6개월 넘게 독자 여러분들과 함께 고민해 왔다.
꾸준히 강조했던 점이 영성은 바로 생활이라는 점이다. 봉쇄 수도원 생활만이 영성 생활이 아니다. 설거지하면서도, 옷을 입으면서도, 화장을 고치면서도, 자녀 뒷바라지하면서도, 공부하면서도 영성 생활할 수 있다. 이렇게 일상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영성생활임에도 우리가 어렵게 생각하는 것은 배우지 않아서다.
구구단을 모르면 수학이 힘들어진다. 영어 단어를 모르면 영어 문법을 배우기 힘들다. 구구단을 외우면 수학을 할 수 있고, 영어 단어를 많이 암기하면 영어를 잘할 수 있다.
영성생활도 마찬가지다. 간단한 기초를 터득하면 그다음 단계로 쉽게 넘어갈 수 있다. 지금까지의 글은 바로 그 기초를 위한 여정이었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종교를 믿지 않아도 착하게 살면 된다”, “겸손하고 이웃에게 배려하는 삶을 살면 성당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반석이 없으면 쉽게 무너진다. 왜 겸손하게 살아야 하는지, 왜 착한 삶을 살아야 하는지 원리를 알아야 한다. 그럴 때 어떤 비바람이 불어도 끄떡하지 않는 튼튼한 집을 지을 수 있다.
그 반석 위에 집을 지으면 우리의 삶은 매일매일 변화된다. 매일 아침이 신선하게 다가온다. 그래서 내일을 설레는 마음으로 기다린다. 하루를 무의미하게 보내는 사람들이 많다. 바보다.
영성 생활은 그 하루에 엄청난 행복과 설렘을 만끽하게 한다. 내일은 참으로 소중하고 귀하다.
다시 한 번 말한다. 내일이 주어진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모르는 사람은 바보다. 하느님은 이미 우리 안에 모든 것을 심어 놓으셨다. 당신을 따르도록 이미 형성시켜 놓으셨다. 그 소중한 보화를 꺼내 보기만 하면 된다. 이미 꺼내 본 사람은 알고 있을 것이다. 그 보화가 얼마나 눈부신지…. (끝)
* 그동안 저와 영성 탐구의 길을 함께 걸어주신 모든 독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교리/영성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 이 말이 궁금해요
- 전통 가정과 가톨릭 가정
- 주님 만찬으로의 초대
- 이동익 신부의 한 컷
- 이주의 성인
- 민범식 신부의 쉽게 풀어쓰는 영성과 기도 이야기
- 하느님 안에서 기쁨 되찾기
- 최대환 신부의 인물과 영성 이야기
- 펀펀 전례
- 자아의 신화를 찾아서
- 펀펀 교리
- 쉽게 풀어쓰는 영신수련
- 김인호 신부의 건강한 그리스도인 되기
- QR 생활성가
- 나는 예비신자입니다
- 차동엽 신부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해설
- 정하권 몬시뇰의 가톨릭교회교리서 해설
- 교회법아 놀자
- 전달수 신부의 묵시록 연구
- 청소년 영성
- 길거리 피정
- 재미있는 전례 이야기 ‘전례 짬짜’
-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Ⅱ
- 성서해설
- 복음해설
- 훠꼴라레 생활말씀
- 성좌의 소리
- 정영식 신부의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 영성으로 읽는 성인성녀전
- 성숙한 신앙
- 대희년을 배웁시다
- 그리스도교 영성사
- 영성의 대가들
- 백민관 신부가 엮는 신약성서 해설
- 지상 신학강좌
- 바오로 서간 해설
- 유충희 신부의 '바오로 서간' 해설
- 정영식 신부의 신약성경 읽기
- 주뻬뻬 수녀의 복음묵상
- 성서말씀나누기
- 교부들로부터 배우는 삶의 지혜
- 교부들의 가르침
-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 영성의 대가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