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당에서 많은 신자들을 만나다 보면 유난히 얼굴이 어두운 분들을 볼 수 있다. 한번은 어떤 여성분이 면담을 요청했는데, 죄에 대한 무게 때문에 절망적인 삶을 살고 계셨다. 그 분의 머릿속에는 온통 ‘회개’라는 단어밖에 들어있지 않았다.
사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삶을 살면서 부족한 면이 전체 삶의 10%인 사람이 있고, 80%에 이르는 사람도 있다. 살아온 환경과 만남이 달랐으니 죄에 대한 체험도 당연히 다를 수밖에 없다.
잘못된 면이 10%면 그 10%를 생각하지 말고 잘 살아온 90%에 감사할 필요가 있다. 물론 80% 이상을 엉터리로 살았던 사람이라면, 그 두꺼운 어두운 층을 빨리 깨고 밝은 세상으로 나올 필요가 있다.
하지만 영적으로 넉넉하게 사는 신앙인인 우리들은 밝고 기쁘고 행복한 모습을 지니는 것이 좋다.
감옥의 수인들에 대한 교정교육에서 ‘회개’에 중점을 두는 것에 대해 그리 올바르다고 보지 않는다.
물론 죄인이 자신의 죄를 돌아보고 회개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죄를 회개한다고 해서, 바로 돌아서서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삶을 살아가는 이가 얼마나 되는가. 그렇다면 효과적 차원에서 봐도 회개보다는 나약함에 대한 인정과 새로운 영에 대한 체험이 더 중요하다.
성당에 다니는 많은 이들이 스스로의 죄에 대해 고민하고, 힘들어 하는 것에 대해 자주 봤다. 안타깝다.
일반적인 우리들이 죄를 지으면 얼마나 죄를 짓겠는가. 인간에게는 엄청난 죄를 지을 능력도 없다. 인간 자체가 나약하고 부족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아무리 잘못을 저지른다고 해도, 나약한 인간이 지을 수 있는 그 범위 안에서 죄를 짓는다.
회개도 중요하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새로움’이다. 술을 마실 때마다 부인에게 소리를 지르고 폭력을 행사하는 남편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 남편이 어느 날 성당에 와서 고해성사를 보고, 다시는 술도 마시지 않겠으며, 아내에게 폭력도 행사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하지만 이 남편은 일주일 혹은 한 달이 지나면 십중팔구 다시 술을 마실 것이며, 부인에게 폭력을 행사할 것이다. 인간은 나약하기에 회개를 한다고 해서, 곧바로 고쳐지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회개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초형성적이고, 영적인 것을 내면에 받아들이는 것이다.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것이 그 사람의 내면으로 들어가야 한다. 그래야 영적으로 신선해지고, 새로운 삶을 살 수 있다. 이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인간의 힘만으로는 곤란하다. 하느님이 주시는 힘을 계속 받아야 한다.
하느님이 우리들에게 ‘회개’를 원한다고 할 때는 단순한 ‘반성’을 원하는 것이 아니다. 값싼 눈물을 원하는 것도 아니다. 하느님은 새로운 지평을 원하신다. 새로운 삶의 열림이 중요하다.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영이고 초월이다.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과거로 다시 돌아간다. 과거는 늘 우리 삶 안에서 다시 떠오르게 돼 있다.
과거가 떠올라도 새롭게 해석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라도 먼저 새롭워져야 한다. 과거를 현재와 미래로 연결하는 것이 바로 영의 위대한 능력이다.
과거를 기억하고 판단하는 것이 정신이라면, 마음에서 오는 영은 새롭게 해석하고 새롭게 판단한다. 새로운 영을 받아들이고 사는 사람은 과거를 자학하지 않는다. 죄의식에 떨어지지도 않는다. 과거를 새롭게 해석하고 현재를 살찌우고 미래를 열어나가기 때문이다.
하느님은 과거의 죄에 우리를 묶어 두시는 분이 아니다. 확확 열어주시는 분이다.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 땅에서 해방시키셨고, 바빌론 억압에서 구출해 주신 분이시다.
이제 더 이상 과거에 묶여 있지 말자. 신앙생활을 한다는 것은 새로운 영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과거에 잘못했던 것은 짧게 파악하고 넘어가면 된다. 일주일 혹은 한 달 동안 계속 끌고 가거나 매달리면 우리는 녹초가 된다. 새로운 차원의 영, 하느님이 새롭게 주시는 영적 에너지를 발견하고 체험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찰만 하는 사람은 성찰밖에 못 한다. 하느님 현존을 체험하는 사람은 계속 하느님 현존 체험을 한다.
새로운 차원의 하느님 현존 체험, 초월에 대한 체험, 공명, 경외, 합치, 융화, 연민, 확고함, 부드러움에 대한 새로운 체험으로 나아가야 한다. 공명은 무기력하지 않고 생생하다. 활력이 넘치는 것이다. 초월적 힘, 영적인 힘이 없으면 앞으로 나아가는 힘이 약하다.
교리/영성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 이 말이 궁금해요
- 전통 가정과 가톨릭 가정
- 주님 만찬으로의 초대
- 이동익 신부의 한 컷
- 이주의 성인
- 민범식 신부의 쉽게 풀어쓰는 영성과 기도 이야기
- 하느님 안에서 기쁨 되찾기
- 최대환 신부의 인물과 영성 이야기
- 펀펀 전례
- 자아의 신화를 찾아서
- 펀펀 교리
- 쉽게 풀어쓰는 영신수련
- 김인호 신부의 건강한 그리스도인 되기
- QR 생활성가
- 나는 예비신자입니다
- 차동엽 신부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해설
- 정하권 몬시뇰의 가톨릭교회교리서 해설
- 교회법아 놀자
- 전달수 신부의 묵시록 연구
- 청소년 영성
- 길거리 피정
- 재미있는 전례 이야기 ‘전례 짬짜’
-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Ⅱ
- 성서해설
- 복음해설
- 훠꼴라레 생활말씀
- 성좌의 소리
- 정영식 신부의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 영성으로 읽는 성인성녀전
- 성숙한 신앙
- 대희년을 배웁시다
- 그리스도교 영성사
- 영성의 대가들
- 백민관 신부가 엮는 신약성서 해설
- 지상 신학강좌
- 바오로 서간 해설
- 유충희 신부의 '바오로 서간' 해설
- 정영식 신부의 신약성경 읽기
- 주뻬뻬 수녀의 복음묵상
- 성서말씀나누기
- 교부들로부터 배우는 삶의 지혜
- 교부들의 가르침
-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 영성의 대가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