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옛부터 인간에게 가장 큰 관심사가 된 것은 「이름」이다. 우리말에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 이름을 남긴다」라고 할만큼 모든 이에게 이름에 대한 집착은 대단하다. 성서한에서는 물론(창세 11,4 12,2 참조)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도 「불멸의 이름」을 남기는 것을 인간이 세상에서 이루어야 할 최대의 과제요 미덕으로 생각했다.
성서 문화배경에서 볼 때 이름은 그 사람 자체를 가리키는 것이지 순수하게 호칭으로 남는 예가 없다. 사람의 경우 이름을 정하고 변경하는 것은 주체의 변화를 가리키며, 수행해야 할 사명을 부여한다는 것과 새로 받게 되는 새로운 능력을 가리킨다. 이름은 그 이름을 가진 사람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표현하며, 그 사람 자신이 지닌 배경과 연관해서 생각해야만 이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고대 세계에서는 한 사람의 이름을 아는 것은 그 사람에게 어떤 힘을 행사할 수 잇게 되는 것을 뜻한다고 생각하기도 했다. 하느님께서 야곱과 씨름을 하시고「야곱 」이라는 그의 이름 대신 「이스라엘」이름으로 고쳐주시고, 당신의 이름을 밝히려 하지 않으셨던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창세 32,29~32).
그런데 구약성서는 하느님의 이름을 참으로 다양하게 불렀다. 하느님이 이름이 다양하다는 사실 그 자체가 이미 하느님께서 신비스러운 분이라는 것을 어느 정도 드러내고 있다.
사실 한 가지 이름만으로는 그분이 어떤 분이신지를 인간이 충분히 그려낼 수가 없었다. 하느님의 여러 명칭들 중에 이스라엘 백성과 연관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야훼」이다. 모세가 이름을 물었을 때 그분은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나를 너희에게 보내신 이는 너희 선조들의 「야훼」(JHWE=주임) 하느님이다』(출애 3,15).
「야훼」라는 단어는 하느님이 매우 거룩하신 분임을 표현하지만, 철저하게 호월적인 하느님을 가리키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하느님께서 모세에게 알려주신 그분의 이름은 이스라엘을 에집트 종살이에서 해방시키고 뭇 민족들 가운데서 그들을 뽑아 특별한 백성으로 삼으신 역사적으로 모든 위대한 사건들과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야훼」는 이스라엘 백성이 체험으로 「알고」있어야 하는 분이다. 그래서 하느님은 당신이 누구시냐고 묻는 모세에게 『나는 곧 나다』(출애 3,14)라고 말씀하신다. 초인종 소리에 집 안에 있는 사람이 누구냐고 물으면 귀가하는 「부모」는 「나다!」라는 한 마디로 대답하고 식구들은 죽시 그가 누구인지를 안다. 「야훼」라는 단어를 이렇게 이해한다면, 엄밀히 말해 「야훼」는 하느님의 이름이라기 보다는 그분의 정체성을 제시하는 표현이다. 곧 「야훼」하느님은 모세와 그 백성들이 반드시 알고 잇어야 할 「아버지」인 것이다.
하느님의 이름이 거룩히 빛나시기를 청한다는 것은 인격체로서의 하느님 자신이 거룩히 빛나시기를 청하는 것이다. 「거룩하게 된다」는 것은 하느님께서 고유한 것, 하느님의 것을 가리킨다. 만일 하느님께서 이미 거룩한 분이시라면, 그분이 어떻게 또 거룩하게 되실 수 있는가?
「거룩하게」하는 것은 생각할 수 없는 그 무엇을 하느님의 거룩하심에 첨가함으로써가 아니라, 백성이 이 거룩하심에 더욱 크게 참여함으로써 실현된다.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빛나소서」라고 기도하는 것은 그분의 거룩하심이 그분의 그리스도교 공동체 안에서 널리 확산되고 실현되기를 아버지 하느님께 청하는 것이다.
교리/영성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 이 말이 궁금해요
- 전통 가정과 가톨릭 가정
- 주님 만찬으로의 초대
- 이동익 신부의 한 컷
- 이주의 성인
- 민범식 신부의 쉽게 풀어쓰는 영성과 기도 이야기
- 하느님 안에서 기쁨 되찾기
- 최대환 신부의 인물과 영성 이야기
- 펀펀 전례
- 자아의 신화를 찾아서
- 펀펀 교리
- 쉽게 풀어쓰는 영신수련
- 김인호 신부의 건강한 그리스도인 되기
- QR 생활성가
- 나는 예비신자입니다
- 차동엽 신부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해설
- 정하권 몬시뇰의 가톨릭교회교리서 해설
- 교회법아 놀자
- 전달수 신부의 묵시록 연구
- 청소년 영성
- 길거리 피정
- 재미있는 전례 이야기 ‘전례 짬짜’
-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Ⅱ
- 성서해설
- 복음해설
- 훠꼴라레 생활말씀
- 성좌의 소리
- 정영식 신부의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 영성으로 읽는 성인성녀전
- 성숙한 신앙
- 대희년을 배웁시다
- 그리스도교 영성사
- 영성의 대가들
- 백민관 신부가 엮는 신약성서 해설
- 지상 신학강좌
- 바오로 서간 해설
- 유충희 신부의 '바오로 서간' 해설
- 정영식 신부의 신약성경 읽기
- 주뻬뻬 수녀의 복음묵상
- 성서말씀나누기
- 교부들로부터 배우는 삶의 지혜
- 교부들의 가르침
-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 영성의 대가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