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곳에서 겸손하게 전례를 위해 봉사한다
교구 행사마다 제대 장식
전례 시기별 꽃꽂이 연구
전시회 열고 자료집 펴내
신앙은 꽃보다 아름답지만, 꽃은 신앙을 살찌울 수 있다.
수원가톨릭전례꽃꽂이연구회(회장 이분, 이하 연구회)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봉사하는 숨은 교구 일꾼이다.
교구 성체 대회, 순교자 현양대회, 사제 장례미사 등 교구 단위 행사가 있으면 어디든지 달려가 제대를 장식한다. 본당 헌화회 회원들을 교육하고, 전례 시기별 꽃꽂이를 연구하는 것도 연구회 몫이다.
정기적으로 전시회를 열고, 사진 자료집을 발행하기도 한다.
꽃꽂이라고 해서 다 같은 꽃꽂이가 아니다. 전례꽃꽂이는 해당 축일의 의미, 복음은 물론이고 심지어 사제 제의 색깔까지 고려해야 하는 만큼, 깊은 묵상과 기도가 필수다.
이분(체칠리아) 회장은 “묵상 없이는 꽃 한 송이도 꽂지 못하는 것이 전례꽃꽂이”라며 “늘 낮은 곳에서 겸손된 기도하는 마음으로 전례를 위해 봉사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꽃 때문에’ 모여, ‘꽃으로’ 묵상하는 회원은 모두 480여 명. 회원들은 매월 정기적 모임 및 교육을 통해 만남을 갖고 대축일 및 축일 꽃꽂이 정보를 나누고 친교를 다지고 있다.
최근 전례력을 뜻깊게 보낼 수 있고, 취미 생활과 봉사활동을 병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회원 가입 및 교육을 희망하는 이들이 크게 늘고 있다.
심지어 서울과 인천 교구에서도 교육을 문의하는 신자들이 있을 정도. 하지만 현재로선 장소 부족 때문에 더 많은 회원을 교육하기란 어려운 실정이다.
이분 회장은 “많은 여성 신자들이 전례꽃꽂이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만큼 앞으로 각 대리구 차원에서 교육 기회가 확대되었으면 한다”며 “전례꽃꽂이 발전과 회원들의 성화를 위해 앞으로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016-9234-0010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 우리 본당 주보성인
- 길에서 쓰는 수원교구사-퀴즈
- 교구 순교자를 만나다
- 교구 순교자를 만나다 - 퀴즈
- 선교지에서 온 편지
- 성지의 풍경
- 우리교구 이곳저곳
- 교구 본당의 역사를 따라-퀴즈
- 교구 본당의 역사를 따라
- 영성의 뿌리
- 기쁜 소식 퀴즈
- 순교자의 땅
- 함께 걷자 믿음의 길
- 공소의 재발견
- 성미술 순례
- 기쁜 소식
- 수원판 창간기념
- Go! 2013
- 남수단에서 온 편지
- 수원 수도회 이야기
- 내 손 안에 디딤길
- 내 손 안에 생활성가
- 나는 평신도다
- 최덕기 주교와 함께
- 가톨릭신문 수원교구 창간특집
- 명예기자의 눈
- 김남수 주교의 회고록
- 평신도 발언대
- 우리본당 이런소식
- 수원교구 성지에서 만나는 103위 성인
- 수단에서 온 편지
- 신자 경제인을 찾아서
- 한국교회 창립 선조를 찾아서
- 수단을 입으며
- 교구청 사람들 (수원)
- 소공동체 현장을 찾아서
- 소공동체 모임 자료
- 우리본당 이런사목
- 교구 열린마당
- 청소년과 함께 교회의 미래를
- 마중물
- 가톨릭신문으로 보는 수원교구 50장면
- 초대교구장 윤공희 대주교에게 듣는다
- 교구 단체를 찾아서
- 교구 복지시설을 찾아서
- 교구 신자 의식 조사 분석 보고서
- 길에서 쓰는 수원교구사
- 카리스마를 찾아서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