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

[세상살이 신앙살이] (517) 호상(好喪)이란 없습니다 (상)

강석진 신부(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입력일 2019-12-30 16:25:56 수정일 2019-12-31 10:15:13 발행일 2020-01-05 제 3177호 17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하느님 안에서 기쁘게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 어느 자매님과 그분의 남편 이야기입니다. 그 자매님은 젊은 시절부터 천주교 신앙을 가졌고, 결혼 한 후 자녀들을 낳아 천주교 신앙 안에서 잘 키운 분입니다. 단, 남편 분은 신자가 아니었습니다. 그 형제님은 아내와 자녀들이 천주교 신앙 안에서 살아가는 모습을 언제나 지지하고 격려했지만, 본인이 성당에 다니지는 않았습니다.

그래도 집이 성당 근처라, 형제님은 일주일에 한 번 이상은 아내와 함께 성당에 와서 자신의 아내가 하는 봉사에 작은 도움을 주고자 하셨습니다. 60세는 넘어 보이는데, 아내와 함께 밝은 표정으로 성당에서 조용히 봉사하고 있는 모습과 그 얼굴표정을 보면 어찌나 해맑은지요…. 마치 아이가 환희 웃는 표정과 같다고나 할까요!

그래서 나는 마음으로는 그 형제님에게 다가가서, ‘이제 ‘성당’에 한 발짝 담그셨으니, 한 걸음만 더 담그시면 안 될까요!’라고 말하며 입교 권면을 하고 싶었지만…. 천주교 신자가 아니지만 누구 못지않게 신앙인처럼 살아가는 형제님의 모습을 보면 반가움과 고마움이 앞서 악수만 하지, 신앙 이야기는 한 마디도 못했습니다.

그렇게 몇 달이 흘렀을까요. 형제님의 어머니께서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리고 며칠 동안 자매님의 얼굴도 뵐 수 없었습니다. 정확이 말하면, 형제님의 어머니 ‘부고 소식’을 들은 것은 토요일이었고, 빈소가 멀리 지방에 있는 터라 나는 조문을 갈 수가 없었습니다. 아니, 더 갈 수 없는 이유는 바로 형제님의 가족들 모두가 어머니의 장례를 ‘불교식’으로 치른다고 했기에, 나는 할 수 없이 주일 날 본당을 지키며 미사 중에 기도만 드렸습니다.

자매님과 친분이 있는 신자 몇 분은 지방에 있는 빈소에 다녀 온 모양입니다. 다녀오신 분들은 나에게 빈소 상황을 간단하게 말해 주었는데, 형제님의 어머니 연세가 거의 100세가 다 되었다고 합니다. 그 말을 듣자 나는 속으로 ‘100세라, 와! 장수 하셨구나. 호상이었네.’ 그러면서 예전에 105세에 돌아가신 우리 할아버지와 98세에 돌아가신 우리 할머니 생각이 났습니다. 30년도 더 되었을까…, 할머니의 장례를 치른 후 그 다음 해엔가 할아버지가 돌아가셔서 장례를 치렀고, 그렇게 장례를 치르던 날의 모습도 떠올랐습니다.

장례를 치르는데, 큰아버지를 비롯해 고모들이 빈소에서 조문객을 맞이하셨고, 찾아오는 조문객들 마다 ‘호상이네요’라 말했습니다. 하지만 막상 조문이 다 끝난 밤이 되면 큰 아버지와 아버지, 그리고 고모들이 진심 흐느끼며 슬퍼하는 모습을 보면서 나 또한 마음이 무척 아팠던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죽음 앞에서 느끼는 감정의 슬픔은 다 같을 텐데! 연세가 들면, 죽음 앞에서 조금은 초연해져서 곡을 하며 목 놓아 울지는 않는 것 뿐인데. 그러나 진심 내면을 들여다보면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낸 슬픔은 나이를 불문하고 ‘꺼이꺼이, 대성통곡을 하며 목 놓아 울고 싶은 생각’은 들었을 겁니다.

며칠 후, 자매님, 형제님과 성당에서 마주쳤습니다. 그 날도 형제님은 아내가 하는 일을 어김없이 도와주고 있었습니다. 형제님을 보는 순간 나는,

“형제님, 큰 일 치루셨네요. 지금 마음이 많이 아프시죠? 저는 그 슬픔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겠지만, 어떤 마음인지는 조금은 알 것 같습니다. 어머니는 분명 극락왕생 하실 거구요, 형제님도 지금은 비록 힘들고 마음이 아프시겠지만…. 우리 함께 어머님께서 좋은 곳에 잘 가실 수 있도록 기도합시다.”

그런 다음 형제님의 눈을 바라보는데, 정말이지 눈가에는 수정처럼 맑고 맑은 눈물이 고여 있었습니다. 어머니를 향한 사랑의 마음이 눈물처럼 ‘그렁그렁…’ 했습니다.

(다음 호에 계속)

강석진 신부(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기자사진

강석진 신부(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