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기획/특집

[알고계십니까?] 친교로서의 교회/정연혁 신부

정연혁 신부(수원교구장 비서)
입력일 2011-04-22 00:00:00 수정일 2011-04-22 00:00:00 발행일 2000-08-13 제 2213호 9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다양한 교회 안에서 일치를 찾아내야
제2차 바티칸공의회는 친교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교회를 설명합니다. 이 친교라는 개념이 갖는 의미는 인간과 하느님 사이에 어떤 친교가 이루어지며, 이 친교가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여기에는 인간이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실천하며, 성사생활을 하는 것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간은 하느님과 일치하며, 그 안에서 구원에 대한 확신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하느님과의 개인적인 친교는 모든 다른 친교의 원천이 되는 것으로, 이것 없이 이루어지는 신앙의 친교는 인간적인 친분일 뿐입니다. 말씀과 성사의 삶은 교회 생활의 전부입니다.

그런데,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교회들은 모두 이 말씀과 성사의 삶을 따라 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 세계의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하느님의 교회 안에서 비록 곁에 있지 않은 형제 자매들과도 영적인 친교를 이룰 수 있습니다.

이런 영적인 친교를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바로 성찬례이고 성체성사입니다. 성체성사는 한 분이신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받아먹고 마시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죽음 이전에 제자들을 하나가 되도록 해달라고 기도하셨고(요한 복음 17장), 이 일치를 위해 십자가에서 성체성사를 완성하는 죽음의 길로 가셨습니다.

따라서 성찬례에 참여하는 사람은 누구나 영적인 친교를 통해 전세계의 모든 그리스도인과 일치하는 것입니다. 그 동안 교회는 이런 영적인 친교를 잘 인식하여 일치를 이루려는 것보다는 공의회가 반성하듯이 어떤 법적인 조건을 채우거나, 교계 제도적인 구조에 의해 친교를 이루려고 시도한 과거가 있습니다.

그러나 제3천년기를 맞아 참으로 교회가 나가야 할 길은 예수님게서 목숨을 주셨던 그 영적인 원천으로 돌아가는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전세계 차원에서 하고 있는 운동이 바로 종교일치 운동입니다. 같은 하느님을 고백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교회가 성찬례를 거행하고 있는데, 교회는 갈라져 있습니다.

교회 분열은 세상 사람들에게 추문거리이고 우리가 진정으로 하느님의 자녀라는 것을 믿을 수 없도록 하는 장애물입니다. 따라서 친교 회복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런 정신으로 1985년에 세계 주교대의원회의에서는 교회일치는 단순히 구조적으로 여러 교회를 하나로 합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교회 안에서 일치를 찾아내는 것이라고 천명한 바 있습니다.

정연혁 신부(수원교구장 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