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대희년은 「충만한 시간」이 와서 『하느님께서 육화 안에서 인류의 역사 속으로 내려오셨다는 바로 그 사실』(「제삼천년기」9항)을 기념하는 것이다.
『때가 찼을 때 하느님께서 당신의 아들을 보내시어 여자의 몸에서 나게 하셨다』(갈라 4,44).
구약성서의 메시아적 본문은 인간의 역사 안으로 들어오신 이분에 대해 『너는 내 아들, 나 오늘 너를 낳았노라』(시편 2,7)라고 말한다. 또한 루가복음서는 하느님의 힘과 성령으로 인해 잉태된 이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힌다. 『성령이 너에게 내려 오시고 지극히 높으신 분의 힘이 감싸 주실 것이다. 그러므로 태어나실 그 거룩한 아기를 하느님의 아들이라 부르게 될 것이다』(루가 1,35).
예수께서는 사람들에게 하느님의 가르침과 진리를 단순히 전하는 차원을 넘어, 그분 자신이 진리이며 하느님의 충만한 계시이시다. 예수님은 단지 지성적인 진리이실 뿐 아니라, 살아계신 진리이시다. 이 계씨는 우리 안에서 하나의 과정을 일으켜 하느님께 이르게 하신다.
그러면 예수께서는 어떤 하느님의 모습을 우리에게 알려주시는가? 예수께서 우리에게 전해주시는 하느님은 우리의 「아버지」이시며 「하늘에 계신」분이시다.
우리는 하느님을 감히 「우리 아버지」라고 부른다. 당신 아드님께서 우리에게 이를 가르쳐주셨고 우리 안에 계시는 성령께서 근본적이며 첫째가는 「아빠」라는 말을 가르쳐주셨기 때문이다.
아버지는 가족을 책임지고 배려한다는 뜻에서 가정생활을 계획하고 가족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보살피는 사람(마태 13,52 참조)이기에 「아버지」라는 표현은 사회적인 성격을 반영하고 있다. 아버지는 이해하는 사람이며 자녀들을 인간으로 교육시키고 자녀들로부터 완전한 이해를 받는 사람이기도 하다. 사실 모든 가족들이 아버지에게 기대고 아버지의 활동력과 용기와 지혜에 의존한다.
이렇게 이중적인 측면에서 이해된 아버지의 모습이 하느님께 적용된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하느님을 아버지라 부르면서 아버지와 한 가정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묶여있음을 느끼고, 더 나아가 가장 깊이있게 사랑받고 이해받음을 느낀다.
하느님은 「나」만의 아버지가 아니라 「우리 아버지」이시다. 아드님을 통해 형제가 된 우리 모두는 하느님을 「우리 아버지」라고 부른다. 세상의 아버지께서 내가 누구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가 나에게 성을 주셨듯이, 한늼은 우리에게 당신의 성, 곧 「하느님의 자녀」라는 성을 주셨다.
그러나 다른 한편 하느님은 「우리 어머니」이기도 하시다. 세상에서 아버지와 어머니는 서로 보완하여 생명을 낳아 양육하는데 동참한다. 하느님은 모든 차이와 구별을 떠나 당신의 단순성 안에 모든 것을 포괄하고 계시기에 「우리 어머니」이시기도 하다.
지상의 체험으로 알게 되는 아버지의 범주 안에서 생각하고 느낄 수 있는 하느님은 초월적인 분으로 남는다. 「주의 기도」에서 하느님을 가리켜 「하늘에 계신」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우리가 믿는 그분은 한없이 아버지이시고 무한히 하느님이시라는 것을 뜻한다. 「하늘」은 하느님이 차원 자체를 가리키며 우리가 도달할 수 없는 그분의 실재를 강조하는 말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느님을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로 부르면서 그분에 대해 지상의 아버지처럼 가깝고 우리를 배려하고 보호해주시는 분으로 생각하면서도, 그분을 인간의 수준으로 축소시키지 않는다.
교리/영성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 이 말이 궁금해요
- 전통 가정과 가톨릭 가정
- 주님 만찬으로의 초대
- 이동익 신부의 한 컷
- 이주의 성인
- 민범식 신부의 쉽게 풀어쓰는 영성과 기도 이야기
- 하느님 안에서 기쁨 되찾기
- 최대환 신부의 인물과 영성 이야기
- 펀펀 전례
- 자아의 신화를 찾아서
- 펀펀 교리
- 쉽게 풀어쓰는 영신수련
- 김인호 신부의 건강한 그리스도인 되기
- QR 생활성가
- 나는 예비신자입니다
- 차동엽 신부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해설
- 정하권 몬시뇰의 가톨릭교회교리서 해설
- 교회법아 놀자
- 전달수 신부의 묵시록 연구
- 청소년 영성
- 길거리 피정
- 재미있는 전례 이야기 ‘전례 짬짜’
-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Ⅱ
- 성서해설
- 복음해설
- 훠꼴라레 생활말씀
- 성좌의 소리
- 정영식 신부의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 영성으로 읽는 성인성녀전
- 성숙한 신앙
- 대희년을 배웁시다
- 그리스도교 영성사
- 영성의 대가들
- 백민관 신부가 엮는 신약성서 해설
- 지상 신학강좌
- 바오로 서간 해설
- 유충희 신부의 '바오로 서간' 해설
- 정영식 신부의 신약성경 읽기
- 주뻬뻬 수녀의 복음묵상
- 성서말씀나누기
- 교부들로부터 배우는 삶의 지혜
- 교부들의 가르침
-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 영성의 대가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