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로 생을 마감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을 어떻게 볼 것인가. 그에 대한 추모 열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자살을 두고 교회 안팎으로 해석과 논란이 분분하다. 이는 노 전 대통령의 ‘자살’과 ‘서거’에 대한 정치적 판단과 평가가 제각각인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교회는 자살을, 생명을 주관하시는 하느님을 거스르는 행위로 본다. 이러한 교리적인 배경에다 전직 대통령으로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도 있다. 한 사목자는 “고인이 죽음을 택할 수 밖에 없었던 상황에 대해서는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면서도 “일국의 최고 지도자로서 자살의 당위성을 설명하기엔 아쉬움이 많다. 정치보복, 정치적 타살 등 항간에 쏟아지는 온갖 추측들도 그의 자살을 정당화할 수 있을지는 의문스럽다”고 말했다.
다른 한편에서는 노 전 대통령의 자살이 교리에는 위배되지만, 그를 죽음으로 내 몬 사회적 현실을 돌아보고 반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사무국장 박정우 신부는 “교회에서도 자살자를 위해 적극 기도하고 있다. 교리적으로는 분명히 잘못되었지만, 이 문제에 있어서는 한 사람을 극한으로 몰고간 사회현실에 대해 반성이 필요하다”고 해석했다.
무엇 보다 노 전 대통령의 죽음을 애도하는 뜨거운 추모 열기는 그의 죽음과 함께 그가 추구했던 긍정적인 가치들을 돌아보고 구현해야 한다는 공감의 결과라고 보는 시각이 많다. 박 신부는 “현재 우리사회는 용산참사라든지 4대강 문제라든지, 비정규직 문제라든지 각종 사회문제가 심각하다. 가난한 이들은 더욱 소외되는 현실이다. 가난한 사람들이 대접받는 사회를 추구한 그의 신념은 존중돼야 한다”며 “정치적인 성향과 계층에 따라 너무나 판단이 어긋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밝혔다.
교회 지도자들도 노 전 대통령의 죽음을 애도하며 한결같이 소탈한 ‘서민 대통령’으로서 지역주의 타파와 더불어 잘 사는 국가 건설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였던 고인의 유지를 받들어 우리 사회의 화합과 일치를 이루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