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일미사를 주일미사로 착각하게 만드는 본당이 있다. 평택대리구 비전동성체성혈본당(주임 전시몬 신부). 이곳의 평일미사 참례자 수는 다른 본당의 주일미사를 방불케 한다.
전신자가 약 4700여 명쯤 되는 이 본당의 평균 평일미사 참례자 수는 350여명. 오래 전 200여 명이 채 되지 못했던 미사 참례자 수에 비하면 큰 발전인 셈이다.
본당의 평일미사 참례자 수가 이토록 늘어난 이유는 ‘구역별 평일미사 참여 콘테스트’ 때문이다. 평일미사 참례자들이 미사 후 자신의 구역에 스티커를 붙이고, 본당은 그 수를 집계해 시상을 한다. 어린이들도 마찬가지다.
‘컴피티션(competition)’이란 단어를 쓰고 싶었지만 어르신들에게 익숙한 ‘콘테스트’라는 단어를 쓰게 됐다는 전시몬 신부는 평일미사 안에서 ‘신앙의 삶’을 찾으라고 강조한다.
전 신부는 “교우들은 하루를 살아가는데 있어 하느님 안에서 힘을 얻어야 한다”며 “주일미사만 참여하는 것이 아닌 매일의 신앙의 삶 속에서 힘을 받고 살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많은 신자들의 평일미사 참례를 ‘시노두스의 실현’과 ‘소공동체의 활성화’와도 맥을 같이 한다고 했다. 실제로 콘테스트를 시작하기 전 본당의 180~200여 명 신자가 평일미사에 참여했던 것에 비해 콘테스트 이후에는 350여 명까지 늘어난 것이다.
비전동성체성혈본당의 평일미사에는 어른들만 참여하는 것이 아니다. 처음에는 ‘학원에 가야한다’며 평일미사에 오지 못하겠다고 했던 초등부 어린이들도 이제는 35명 정도가 평일미사에 참여한다.
전시몬 신부가 준비한 ‘깜짝선물’은 또 있다. 시상내역에 밝히지는 않았지만 일상에 눌려 평일미사에 자주 참여하지 못했던 구역일지라도 시간이 갈수록 늘어난다면 주임신부의 작고 따뜻한 마음을 표현하려고 준비 중이다.
전 신부는 “주님 안에서 형제들과 함께 어울려 사는 것이 얼마나 기쁜 일인가”라며 “내년에는 같이 웃으며 살기 위해 본당의 ‘품위 있는 놀이문화’를 신자들과 공모 중이기도 하다”고 전했다.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 우리 본당 주보성인
- 길에서 쓰는 수원교구사-퀴즈
- 교구 순교자를 만나다
- 교구 순교자를 만나다 - 퀴즈
- 선교지에서 온 편지
- 성지의 풍경
- 우리교구 이곳저곳
- 교구 본당의 역사를 따라-퀴즈
- 교구 본당의 역사를 따라
- 영성의 뿌리
- 기쁜 소식 퀴즈
- 순교자의 땅
- 함께 걷자 믿음의 길
- 공소의 재발견
- 성미술 순례
- 기쁜 소식
- 수원판 창간기념
- Go! 2013
- 남수단에서 온 편지
- 수원 수도회 이야기
- 내 손 안에 디딤길
- 내 손 안에 생활성가
- 나는 평신도다
- 최덕기 주교와 함께
- 가톨릭신문 수원교구 창간특집
- 명예기자의 눈
- 김남수 주교의 회고록
- 평신도 발언대
- 우리본당 이런소식
- 수원교구 성지에서 만나는 103위 성인
- 수단에서 온 편지
- 신자 경제인을 찾아서
- 한국교회 창립 선조를 찾아서
- 수단을 입으며
- 교구청 사람들 (수원)
- 소공동체 현장을 찾아서
- 소공동체 모임 자료
- 우리본당 이런사목
- 교구 열린마당
- 청소년과 함께 교회의 미래를
- 마중물
- 가톨릭신문으로 보는 수원교구 50장면
- 초대교구장 윤공희 대주교에게 듣는다
- 교구 단체를 찾아서
- 교구 복지시설을 찾아서
- 교구 신자 의식 조사 분석 보고서
- 길에서 쓰는 수원교구사
- 카리스마를 찾아서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