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농업과 농촌, 농민들을 살리는 길은 소비 중심적 생활에서 벗어나 ‘생태적 생활양식’을 선택하는 길입니다. 물질적 풍요와 개발이 아닌, 가난하고 소박한 복음적 생활방식의 선택입니다. 먼저 도시 성당에서 농민들이 농부이신 하느님의 마음으로 정성껏 농사지은 생명의 먹을거리를 기꺼이 받아 모시며 함께 살아가야 합니다. 이것은 바로 우리 교회가 지난 15년 동안 전개하고 있는 나눔과 섬김의 운동인 ‘우리 농촌 살리기 운동’에 적극 참여하는 길입니다.(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 위원장 이용훈 주교의 제15회 농민 주일 담화문 중)
7월 18일은 농민주일입니다. 도시화의 물결이 거세지만 아직도 우리 수원교구는 도시와 농촌 신자들이 한울타리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입니다. 농부이신 하느님을 따르는 농민들의 수고를 한 번 더 기억하고 기도하는 주일이 됩시다.
용인대리구 가남본당은 18일 정오부터 밤 9시까지 청소년 사목 활성화 및 소외이웃돕기 기금 마련을 위한 ‘청년회 기금마련 일일호프’를 갖습니다. 수원대리구 영통성령본당은 18일 교중미사 후 지하강당에서 ‘마니피캇 족구단’ 창단식을 마련합니다.
안산대리구 선부동성가정본당은 올 10월 30~31일 열릴 본당 청년축제 준비를 위해 ▲전 신자 매일 묵주기도 봉헌 ▲각 가정 청년 대상으로 축제 프로그램 참여 독려 ▲구역별 냉담 청년 교우 회두, 구역별 축제 지원 계획 수립 ▲냉담 청년 교우들에게 청년축제 준비 소식지 전달 등의 목표를 세우고 본당 모든 단체와 신자들이 목표 달성을 위해 동참할 예정입니다.
평택대리구 평택본당은 18일 오전 10시30분 몰리마르관 마리아홀에서 가정교리연구소장 신정숙 수녀를 강사로 초청해 ‘가정의 소명’ 교육을 갖습니다. 평택대리구 던지실본당 소년 레지오 ‘샛별’ 쁘레시디움은 18일 성당에서 1천차 주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 우리 본당 주보성인
- 길에서 쓰는 수원교구사-퀴즈
- 교구 순교자를 만나다
- 교구 순교자를 만나다 - 퀴즈
- 선교지에서 온 편지
- 성지의 풍경
- 우리교구 이곳저곳
- 교구 본당의 역사를 따라-퀴즈
- 교구 본당의 역사를 따라
- 영성의 뿌리
- 기쁜 소식 퀴즈
- 순교자의 땅
- 함께 걷자 믿음의 길
- 공소의 재발견
- 성미술 순례
- 기쁜 소식
- 수원판 창간기념
- Go! 2013
- 남수단에서 온 편지
- 수원 수도회 이야기
- 내 손 안에 디딤길
- 내 손 안에 생활성가
- 나는 평신도다
- 최덕기 주교와 함께
- 가톨릭신문 수원교구 창간특집
- 명예기자의 눈
- 김남수 주교의 회고록
- 평신도 발언대
- 우리본당 이런소식
- 수원교구 성지에서 만나는 103위 성인
- 수단에서 온 편지
- 신자 경제인을 찾아서
- 한국교회 창립 선조를 찾아서
- 수단을 입으며
- 교구청 사람들 (수원)
- 소공동체 현장을 찾아서
- 소공동체 모임 자료
- 우리본당 이런사목
- 교구 열린마당
- 청소년과 함께 교회의 미래를
- 마중물
- 가톨릭신문으로 보는 수원교구 50장면
- 초대교구장 윤공희 대주교에게 듣는다
- 교구 단체를 찾아서
- 교구 복지시설을 찾아서
- 교구 신자 의식 조사 분석 보고서
- 길에서 쓰는 수원교구사
- 카리스마를 찾아서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