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신명 8,2-3.14ㄴ-16ㄱ / 제2독서 1코린 10,16-17 / 복음 요한 6,51-58 성체성사 핵심은 공동체 나눔 실천 일상 속 이기심과 무관심 떨쳐 내고 친교 이루며 주님 사랑에 동참해야
■ 살아계신 하느님을 만난 신앙인들
그리스도인들은 예수님을 도덕교사로 여기지 않았습니다. 행복의 비결을 남긴 현자나 소원을 들어주실 영험한 분으로 여긴 것도 아닙니다. 제자들이 예수님을 통해서 목격하고 체험한 것은 하느님의 사랑이었습니다. 당신 외아들을 내어주기까지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느님 아버지, 십자가에 달려 죽기까지 사랑을 증거하신 성자, 그리고 사랑 그 자체이신 성령을 체험하고 믿었습니다. 하느님께서 예수의 파스카 신비를 통해서 당신의 사랑을 결정적으로, 그리고 더 이상 넘어설 수 없는 방식으로 알려주셨음을 알게 된 신앙인들은 “예수는 그리스도이시다”라고 고백합니다. 그런 까닭에 신앙 공동체는 애초부터 예수님의 일대기 같은 것을 만들지 않았습니다. 전기나 일대기는 과거에 살았던 위인을 기리고 본받는데 필요한 것이지, 오늘 살아계신 그분을 만나는 데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신앙인들은 대신 그분의 수난과 부활을 선포하는 복음서를 기록하고 전했습니다. 또 사순과 부활 시기를 한 해의 중심으로 삼아 성대하게 거행합니다. 부활 시기가 끝나자마자 삼위일체 대축일로 더 분명하게 하느님의 신비를 선포하고, 이어서 성체 성혈 대축일을 경축하며 성체성사가 살아계신 그분을 뵙는 자리라고 알려줍니다. 오늘 말씀들은 이런 배경을 두고 선포됩니다. ■ 성체성사로 하느님을 뵙고 모신다 먼저 첫째 독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집트 종살이에서 이끌어 내셔서 만나를 먹게 하신 하느님의 뜻을 전합니다. 그것은 인간이 “주님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산다는 것”(신명 8,3)을 알게 하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니까 만나는 인간의 존재가 하느님으로부터 비롯되고 하느님의 은총으로 살고 있음을 상기시키는 것이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제2독서에서 바오로 사도가 “우리가 축복하는 그 축복의 잔은 그리스도의 피에 동참하는 것이 아닙니까? 우리가 먹는 빵은 그리스도의 몸에 동참하는 것이 아닙니까?”(1코린 16,16)라고 할 때, 성체성사의 역할이 드러납니다. 그리스도의 몸과 피는 인간을 향한 하느님의 사랑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었지요. 우리가 그분의 몸과 피를 먹고 마시며 동참한다는 것은 지금 이 순간 우리에게 주어지는 하느님의 사랑에 동참한다는 뜻이겠습니다. 그러므로 복음에서 예수께서 “너희가 사람의 아들의 살을 먹지 않고 그의 피를 마시지 않으면, 너희는 생명을 얻지 못한다”(요한 6,53)고 말씀하신 것은 하느님의 사랑에 함께하지 않는 사람은 생명을 얻지 못한다는 뜻으로 알아들을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하느님의 사랑에 동참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 나눔과 일치로 이끄는 성체 성체는 나누어 먹는 것입니다. 사제는 성체를 영하기 전에 성체의 작은 부분을 떼서 성혈 안에 넣습니다. 옛날에 교황님께서 성체를 쪼개서 로마의 모든 성당에 보내어 나눠 먹음으로써 우리가 같은 빵을 나누어 먹는 형제자매임을 상기시켰던 전통에 따른 것입니다. 그러니까 성체는 나눔과 일치의 수단이고, 나눔과 일치가 있는 곳에 하느님께서 참으로 함께 계신다는 것이 성체성사의 핵심인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성체성사를 세우는 자리에서 일치를 위하여 기도하셨지요. “그들이 모두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 아버지, 아버지께서 제 안에 계시고 제가 아버지 안에 있듯이, 그들도 우리 안에 있게 해 주십시오.”(요한 17,21) 그렇게 성체는 그것을 받아모시는 사람들이 하느님과 사람들의 일치,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일치를 위해 노력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성체를 받아 모시는 사람은 일치를 위해서 이기심의 성벽 밖으로 손을 내미는 것입니다. 초기의 교회 신자들은 나눔과 일치라는 성체성사의 의미를 잘 이해하였고 잘 살리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미사를 봉헌하면서 사도들의 말씀을 듣고 함께 기도하였으며, 함께 문제를 논의하고, 성체를 나누어 먹음으로써 “이를 행하여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실천했습니다. 사도행전이 그런 모습을 증언합니다. “그들은 사도들의 가르침을 받고 친교를 이루며 빵을 떼어 나누고 기도하는 일에 전념하였다. … 신자들은 모두 함께 지내며 모든 것을 공동으로 소유하였다. 그리고 재산과 재물을 팔아 모든 사람에게 저마다 필요한 대로 나누어 주곤 하였다.”(사도 2,42-45) ■ 공동체의 성사, 성체성사 결국 성체가 나눔의 실천을 가져오지 않고, 참된 일치의 공동체를 건설하는 데에 기여하지 않는다면, 성체성사는 하나의 의례로 전락하고 맙니다. 사도 바오로는 일상생활에서 욕심만 차리고 가진 것을 나누기를 거절하는 사람은 성체를 받아먹기에 부당한 사람이라고 봐서 그런 이들을 책망합니다: “여러분이 한데 모여서 먹는 것은 주님의 만찬이 아닙니다. 그것을 먹을 때, 저마다 먼저 자기 것으로 저녁 식사를 하기 때문에 어떤 이는 배가 고프고 어떤 이는 술에 취합니다. … 이 점에서는 칭찬할 수가 없습니다.”(1코린 11,20-22) 미사 때 모시는 성체가 참으로 그리스도의 몸인지 알고 싶다면, 우리가 성체를 영하면서 이 나눔과 일치의 신비를 살고 있는지를 돌아볼 일입니다. 우리가 부족하나마 끈질기게 이기심과 무관심에 대항하면서 나눔과 일치에로 움직여 간다면, 거기에는 참으로 그리스도께서 함께 계십니다. 우리가 그분의 식탁에 함께 앉아 잔치를 벌이는 것은 그렇게 나눔과 일치를 위해 사는 사도로 살기 위해 힘을 얻는 과정인 것입니다.박용욱 미카엘 신부,대구대교구 사목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