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기획/특집

[가톨릭 문화유산 순례] 10.「한불자전」 「한어문전」

리길재 기자
입력일 2012-02-20 수정일 2012-02-20 발행일 1997-10-12 제 2073호 7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한불자전]→우리말ㆍ문법 연구에 선구적 업적
[한어문전]→서양 문법적인 체제에 의해 연구
한불자전 천주교 토착화에 공헌
한어문전 한국어 최초의 문법서
「한불자전」은 조선에 들어온 파리외방전교회 신부들이 편찬한 사전으로 원명은 「한불ㅈ뎐」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한불사전」인 「한불자전」은 19세기 중엽 다블뤼 주교에 의해 기획되고, 준비됐다.

그러나 1866년 병인박해로 수집해 놓은 원고가 모두 소실되고 편찬계획도 무산되고 말았다.

「한불자전」 편찬사업은 이후 조선 제7대 교구장 리델 주교에 의해 재시도 됐다. 병인박해때 조선을 탈출해 중국 상해와 차쿠 등지에서 박해가 그치길 기다리던 리델 주교는 그동안 한불자전 자료수집 및 편찬 작업에 착수했다. 김여경, 최지혁, 권치문 등 조선인 교우들도 이때 한불자전 편찬 작업에 참여했다.

리델 주교는 1876년 조선 교구에 배속된 파리외방전교회 코스트 신부에게 원고를 넘기고 자신의 조선 전교에 전념키로 했고, 코스트 신부는 원고를 갖고 일본에 건너가 1877년 요코하마에서 사전을 편찬할 인쇄소를 물색했다.

코스트 신부는 3년 후 1880년 「일본의 소리」라는 잡지를 간행하고 있던 「레비」인쇄소에서 「한불자전」을 출간했다.

한불자전은 가로 19ㆍ1센티미터, 세로 28센티미터의 4ㆍ6배판 판형으로 모두 6백94쪽에 약 11만 단어가 수록돼 있다.

한불자전은 「서설」 「본문」 「부록」 등 세 부분으로 편집, 구성돼 있다.

서설에는 범례와 한글의 불문자화에 관한 설명을 실었다.

6백15쪽에 달하는 본문에는 우리말을 알파벳순으로 나열하고, 그 옆에 발음을 알파벳으로 표기한 뒤 한자를 제시했으며, 그 다음에 단어의 뜻을 프랑스어로 설명하고 있다.

부록은 「-하다」와 「-이다」의 활용법과 한국 지명사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불자전」은 천주교가 이 땅에 토착화하는데 공헌했을 뿐 아니라 우리말과 문법 연구에 선구적인 업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어문전」은 파리외방전교회 소속 신부들이 1881년 발행한 최초의 한국어 문법서로 프랑스어로 되어 있다.

가로 19ㆍ6센티, 세로 28센티미터의 4ㆍ6배 판형의 「한어문전」은 총3백34쪽으로 서설과, 제1부 품사론, 제2부 구문론, 부록으로 구성돼 있다.

서설에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차이, 한국어의 어법과 서법, 발음 등이 서술되어 있다.

제1부 품사론에서는 존재사를 비롯한 9품사에 대해, 「구문론」에서는 품사에 따른 구문의 형태와 구문 구성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부록에서는 계절, 도량형, 방위, 친척 관계들을 정리해 놓았고 연습용 회화문과 21종의 전래 설화가 수록돼 있다.

「한어문전」은 한불자전과 마찬가지로 리델 주교와 조선인 신자 김여경, 최지혁, 권치문 등이 중국 상해와 차쿠 등지에서 탈고했고, 코스트 신부가 1880년 한불자전 출간 이듬해인 1881년 일본 요코하마 레비 인쇄소에서 출간했다.

「한어문전」은 비록 서양인들을 위해 프랑스어로 만들어진 문법서이긴 하지만, 한국어가 서양 문법적인 체제에 의해 연구된 최초의 문법서라는 점에서 상당히 중요한 서적이다.

리길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