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기획/특집

[인공유산에 따른 합병증 - 가톨릭의대 김수평 교수를 통해 들어본다] 8. 자연적 가족계획방법 원리 - 상

입력일 2011-05-16 수정일 2011-05-16 발행일 1982-11-14 제 1330호 8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월경주기 이용한 최신 안전 피임법
혈리주기중 가임기에 금욕이 피임성공의 필수조건
1978년 세계보건기구는 자연적 가족계획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자연적 가족계획이란 여성의 월경주기 중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증상과 증후를 관찰하여 가임기와 불임기(不姙期)를 알아냄으로써 임신을 피하거나 임신을 계획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적 가족계획의 정의는 임신을 피하고자 할 때에는 월경주기의 가임기중 금욕이 필수임을 암시 하고있다』자연적 가족 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월경주기에서 가임기가 될 수 있는 날들을 구별해내는 것이며 이에 따른 금욕과 성교의 선택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른다.

가장 최신의 자연적 가족 계획 방법으로 정액관찰법과 증상체온법을 들수 있는데 이의 이론적 근거를 이해하려면 여성의 월경주기의 생리학적 변화에 따른 주요하고 쉽게 관찰되는 배란기의 증상 증후를 알아야 한다. 월경주기 중 배란을 중심으로하여 배란전기와 배란후기에는 각각 체내의 성(性)「호르몬」(에스트로겐ㆍ여성호르몬)의 분비가 차차 증가하며 배란기 직전에 최고로 분비된다. 배란후기에는 난소의 배란이 일어난 부분에 노란 색소가 함유된 황체가 형성되고 이 황체로부터 황체「호르몬」이 분비된다. 이렇게 난소에서 분비되는 난포「호르몬」과 황제「호르몬」은 혈액 속에 들어가 전신을 순환 하며 대사물이 되어 소변으로 배설되는데, 배설되는 양은 혈액속의「호르몬」의 농도를 반영하고있다. 혈액속의 이러한「호르몬」의 영향아래 체내에서는 여러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즉 자궁의 내막, 자궁경관이 선조직, 질상피조직 및 외음부와 유방등이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배란기 전ㆍ후에 일어나는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며, 손쇱게 가임기나 불임기를 파악 할 수 있다. 배란전기 난포호르몬의 증가에 따라 자궁경관의 선조직은 점액을 분비하며, 배란 후기엔 황체호르몬의 분비로 기초체온이 상승하여 2상성 (二像性)의 기초체온양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난소 호르몬의 분비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난포자극 호르몬과 황제 호르몬의 영향 아래 조절되며, 또한 이들 뇌하수체 호르몬의 분비는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 촉진 인자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여성월경주기의 내분비 조절기전인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축의 운영아래 여성생식기관의 주기적 변화가 일어 나게 된다.

월경주기 중 배란기에 부부가 성교를 하면 질강내에 사정된 정액중 정자는 난포호르몬의 영향 아래 자궁경관에서 분비된 점액을 타고 쉽게 자궁경관을 통과하여 자궁강과 난관을 여행하여, 배란되어 난관채부에 의해 포획되어 들어온 난자와 난관*대부에서 만나 수정이 되어 수정난이 된다.

이 수정난은 다시 나팔관을 거꾸로 타고 내려와 난포 호르몬의 영향으로 증식된 자궁내막에 착상하여 임신이 된다.

한편 여성생식기관내에서 정자는 약72시간 가량 생존하며 배란 후 난자는 약 24시간 정도 생존한다. 따라서 배란시기를 전ㆍ후로 하여 배란 72시간 배란 후 24시간 이내에 성교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난자와 정자는 만나지 못한 채 여성생식기관내에서 분해되어 사라지고 배란후 난소에 형성된 황제는 약14일만에 퇴화되므로 황체호르몬의 분비소퇴가 일어나 임신을 위해 준비 되었던 자궁 내막은 탈락되어 떨어져 나온다. 이것이 임신이 안 된 경우에 매달 반복되어 나타나는 월경이다.

1, 점액관찰범 (배란범ㆍ빌링스범)

이 방법은 여성의 월경주기중 가임기와 불임기를 구분하는 수단으로 자궁경관점액의 양과 성질의 변화를 단일 지표로 삼는방법이다.

이는 1950년대에는 달력법이나 기초 체온법에 부수적인 수단으로 가르쳐 왔으나, 1960년대 초가임기와 불임기를 구별하는 단일지표로서의 특징이 뚜렷한 것이 알려져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이 방법의 원리는 자궁경관과 경관점액의 분비 기관이 혈중 난포호르몬의 농도에 가장 민감한 표적 기관인 점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러한 난소의 기능에 따른 혈중 호르몬의 농도와 자궁경관 점액사이의 변화는 빌링스 박사에 의해 1970년대 초에 그 윤곽이 뚜렷이 밝혀졌다. 따라서 자궁 경관 점액을 관찰함으로써 가임기의 시작을 예견할수 있게 됐다.

처음에 사용자는 이 방법을 배우기 위해 자신의 점액증상이 변화를 주관적으로 인식할 줄 알아야한다. 월경직후 수 일 동안 외음부에 나타나는 기본적인 건조한 느낌과 자궁 경관 점액의 분비가 증가되기 시작하는 첫 변화인 축축한 느낌의 차이를 알아야한다. 점액의 양은 차차 늘어나고, 그 성질은 변해서 미끈미끈하고, 끈끈하고, 투명하며, 늘어져서 계란 흰자위 같아지는데 이것이 배란기에 돌입한 신호이다.

이러한 수정형의 점액이 관찰되는 그 마지막날을「최고수정형 점액일」로 하고 통상 가임기의 최고일임을 표시한다. 실제로는 축축한 느낌 있는 날부터 이 최고 수형점액일 후 제3일까지를 가임기로보는데 보통 평균이 기간이 7~14일이다. 처음에는 지도원이나 경험자의 도움을 받아 자기 스스로의 경관점액 양상을 터득하면 가장 간편한 방법으로 사용 될 수 있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