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교 수도승 생활은 동서방을 가리지 않고 널리 퍼져나가, 4세기경에는 웬만한 젊은이라면 한 번쯤은 꿈꾸어보는 매력적인 삶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수도승 생활 역사는 각 지역이 대체로 독립적인 뿌리를 지니고 있었으나, 요한 카시아누스 안에서는 동방과 서방의 두 물줄기가 하나의 큰 강물을 이루게 되었다.
양한 수도승 생활 체험
요한 카시아누스는 360년경 스키티아(오늘날 루마니아)의 부유한 그리스도교 가정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훌륭한 고전교육을 받았고,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완벽하게 구사할 줄 알았다. 일찍이 청년 시절에(378~380년 경), 친구 게르마누스와 함께 팔레스티나에 가서 베들레헴 수도원에서 공동체 생활을 했다. 거기서 몇 해를 머문 다음, 더 깊은 영성생활을 추구하며 사막 교부들의 가르침을 들으려는 열망으로 이집트로 건너갔다. 이곳에서 여러 해를 머무는 동안 수많은 수도원을 방문하였고, 유명한 은수자들과 수도승들의 가르침을 들었다. 사막의 철학자 폰투스의 에바그리우스를 만난 것도 바로 이 때였다.
오리게네스 논쟁이 벌어지기 시작한 무렵, 카시아누스와 친구 게르마누스는 콘스탄티노플에 가 교회 개혁가이며 유명한 설교가인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총대주교를 만났다. 요한 크리소스토무스는 게르마누스에게 사제품을 주었고, 요한 카시아누스에게 부제품을 주어 교회 재산을 관리하는 일을 맡겼다(399년).
그러나, 알렉산드리아의 모사꾼 테오필루스 총대주교와 에우독시아 황비의 모함으로 말미암아 요한 크리소스토무스는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좌에서 쫓겨나 귀양살이를 떠나게 되었다(403년 경). 그러자 카시아누스와 게르마누스는, 콘스탄티노플 교회 성직자들과 신자들이 요한 크리소스토무스를 변호하여 쓴 편지를 교황 인노첸티우스 2세에게 전하기 위해 로마에 갔다. 요한 카시아누스는 그때부터 십 여 년 가까이 로마에서 머물면서 사제품을 받았고, 장차 교황이 될 대 레오와 깊은 우정도 나누었다.
동방과 서방 수도승 전통의 통합
친구 게르마누스가 세상을 떠나자(415년경), 요한 카시아누스는 갈리아 지방 마르세유에 가서, 두 개의 수도원을 세웠는데, 성 빅토르 수도원은 남자 수도원이었고, 성 살바토르 수도원은 여자 수도원이었다(415~416년).
이집트 사막에서는 주지하다시피 독거수도승(獨居修道僧) 생활이 활짝 꽃피어 있었고, 당시 서방 교회에서는 더불어 공동체를 이루고 살아가는 「회수도승」(會修道僧) 생활이 발달해 있었다. 카시아누스는 동방 수도승 전통을 서방 수도승 생활의 토양에 옮겨 심고자 했다. 곧, 회수도승 생활에 독거수도승 생활의 핵심 요소를 통합하려 했던 것이다. 이 까닭에 카시아누스의 저술들은 서방 뿐 아니라, 동방 수도 규칙에도 깊은 영감을 주었다. 동방과 서방의 장점들을 두루 아우르는 수도승 생활을 추구했던 카시아누스가 일흔 다섯의 나이에 삶을 마감하자(435년), 그의 빼어난 영성과 성덕은 수도승들과 그리스도인들 사이에 더욱 널리 퍼져나갔다. 그가 남긴 작품들은 수많은 수도승들의 사랑을 받는 필독 영적 독서가 되었고, 오늘날까지도 고스란히 전해지고 있다.
수도승 생활의 길잡이
카시아누스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제도집」(Institutiones)과 「담화집」(Conlationes)이 있다. 이 두 작품은 카시아누스가 동방, 특히 이집트에서 받은 영적 가르침을 서방 교회의 상황에 맞게 풀어 쓴 것이다. 이 작품들은 수도승 생활의 길잡이로 동방과 서방 교회에 두루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오늘날 널리 퍼져 있는 베네딕투스의 「수도 규칙」은 카시아누스의 가르침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이다.
「제도집」은 마르세유 지방의 주교 카스토르 주교의 요청에 의해서 씌어진 수도 공동체 생활의 길잡이다. 「회수도승 생활 제도집」(De institutis Coenobiorum)이라는 별명도 지니고 있는 이 작품은 모두 열 두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네 권은 수도승들의 복장(1), 이집트 수도승 전통에 따른 밤기도와 찬미가 규정(2), 팔레스티나와 메소포타미아 전례에 따른 낮기도와 찬미가 규정(3), 공동체 생활과 수도승의 덕행(4)을 다루고 있다. 제 5권부터 12권까지는 에바그리우스의 노선에 따라, 여덟 가지 큰 악습을 다루고 있다.
탐식(gastrimargia), 성적 탐닉(fornicatio), 인색(filargiria), 분노(ira), 슬픔(tristitia), 권태(acedia), 허영심(cenodoxia), 교만(superbia). 이러한 악습으로부터 벗어나서 깨끗한 마음을 지니는 것이 영성 생활에 필수적인 까닭에, 카시아누스는 이러한 악습을 치유할 수 있는 방법들을 자상하게 들려주고 있다.
「담화집」은 「제도집」을 보충하기 위하여 씌어진 것이다. 「제도집」이 회수도승(會修道僧)들을 위한 것이라면, 「담화집」은 독거수도승(獨居修道僧)들을 위하여 저술된 것으로서, 모두 스물 네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도승은 사랑의 사람
요한 카시아누스는 수도승들을 위한 지침서들을 저술하였지만, 그 저술들의 핵심은 언제나 사랑이다. 제 아무리 수도 규칙과 기도 생활을 철저하게 지키고 금욕적인 삶을 충실히 살아간다 할 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아무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수도승이란 곧 사랑의 사람이며, 사랑을 살아가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단식과 철야기도, 성경 공부, 재산이나 세상의 모든 것을 포기하는 일 따위는 완덕이 아니라, 완덕에 이르기 위한 도구입니다. 그러므로 단식과 철야기도, 성경 공부, 가난 등을 자랑하는 것은 쓸모 없는 일입니다.
사랑을 완성한 사람이야말로 자기 안에 하느님을 모신 사람이며, 그의 정신은 언제나 하느님과 함께 살아갑니다』(「담화집」 1).
※우리말 번역
「제도집」(일부분), 진토마스 옮김, 「코이노니아」 12. 13.
「담화집」(일부분), 진토마스 옮김, 「코이노니아」 8. 9. 10. 16. 17.
「필로칼리아」(일부분), 엄성옥 옮김, 은성출판사 2001.
교리/영성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 이 말이 궁금해요
- 전통 가정과 가톨릭 가정
- 주님 만찬으로의 초대
- 이동익 신부의 한 컷
- 이주의 성인
- 민범식 신부의 쉽게 풀어쓰는 영성과 기도 이야기
- 하느님 안에서 기쁨 되찾기
- 최대환 신부의 인물과 영성 이야기
- 펀펀 전례
- 자아의 신화를 찾아서
- 펀펀 교리
- 쉽게 풀어쓰는 영신수련
- 김인호 신부의 건강한 그리스도인 되기
- QR 생활성가
- 나는 예비신자입니다
- 차동엽 신부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해설
- 정하권 몬시뇰의 가톨릭교회교리서 해설
- 교회법아 놀자
- 전달수 신부의 묵시록 연구
- 청소년 영성
- 길거리 피정
- 재미있는 전례 이야기 ‘전례 짬짜’
-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Ⅱ
- 성서해설
- 복음해설
- 훠꼴라레 생활말씀
- 성좌의 소리
- 정영식 신부의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 영성으로 읽는 성인성녀전
- 성숙한 신앙
- 대희년을 배웁시다
- 그리스도교 영성사
- 영성의 대가들
- 백민관 신부가 엮는 신약성서 해설
- 지상 신학강좌
- 바오로 서간 해설
- 유충희 신부의 '바오로 서간' 해설
- 정영식 신부의 신약성경 읽기
- 주뻬뻬 수녀의 복음묵상
- 성서말씀나누기
- 교부들로부터 배우는 삶의 지혜
- 교부들의 가르침
-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 영성의 대가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