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일상 속 공포 만연한 사회, 교회 역할은?

박지순 기자
입력일 2023-08-14 수정일 2023-08-14 발행일 2023-08-20 제 3356호 1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관심과 배려 바탕으로 공동체 문화 형성해야
‘무차별 폭력’ 공포사회 증상
개인의 문제로만 치부하거나
처벌 강화만으론 해결 못해
종교 역할 어느 때보다 중요
지역 내 본당 역할 고민해야

무차별적 폭력의 예고는 시민들의 평범한 일상을 공포로 물들이고 있다. 정부는 장갑차와 무장경찰로 엄정대응한다고 하지만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은 좌절과 사회적 고립을 방치하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통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8월 4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역 주변에 배치된 경찰들. 연합뉴스

최근 우리 사회를 뒤덮고 있는 무차별적 폭력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해소하기 위해서 국가와 사회 전체의 책임과 함께 종교의 역할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관련기사 5면

서울 신림동과 경기도 성남 서현역 흉기 난동 사건 이후 온라인상에서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수백 건의 살인 예고가 이어지는 등 평범한 시민들의 일상이 공포로 뒤덮이고 있다.

이 같은 공포사회의 증상은 일부 개인의 반사회적 일탈 행위를 넘어 사회 구성원들에게 좌절과 사회적 고립을 안겨주는 구조적인 문제라는 지적이다. 따라서 처벌의 강화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할 수 없다는 것이 대다수 전문가들의 견해다.

황순찬 교수(베드로, 인하대 사회복지학과 초빙교수)는 ‘묻지마 범죄’라는 용어의 부적절함을 지적하고, 이는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사회안전망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회피하고 개인에게만 책임을 묻는 태도”라고 말했다.

조원기 신부(베드로, 수원교구 생명센터 원장)는 “최근 한국의 공포사회화 현상은 사회학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경제적 불평등과 양극화가 주요한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즉 불평등과 양극화, 생존을 위한 무한경쟁이 요구되는 사회 속에서 사회 구성원들은 한계 상황에 직면해 좌절과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고, 그것이 자칫 불특정 다수를 향한 적개심으로 표출된다는 것이다.

홍성남 신부(마태오, 서울대교구 가톨릭영성심리상담소 소장)는 “폭력을 행사하는 가해자는 자신이 사회에서 버림받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개인의 노력만으로 어찌할 수 없는 좌절 속에서 이들은 더 이상 국가와 사회에 대한 신뢰를 유지할 수 없고 그것이 극단적 행위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국가의 책임과 사회적 안전망의 기능이 요구된다.

황순찬 교수는 “국가는 재난 발생의 책임과 원인을 밝히고 사회 시스템을 재정비해 재발을 막을 책임이 있다”며 “흉기난동 등을 개인 문제로 치부하고 처벌을 강화하려고만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교회 내 전문가들은 공포사회의 근본적 원인이 윤리와 도덕의 붕괴, 신자유주의 경제체제 하에서의 무한경쟁과 승자독식의 사회경제 구조 등이라고 진단할 때 가톨릭교회를 포함한 종교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오세일 신부(대건 안드레아, 예수회,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특히 “프란치스코 교황의 회칙 「모든 형제들」은 인간을 소모품으로 취급하는 문화 속에서 어떻게 인간의 존엄성을 지지할 것인지를 화두로 삼는다”며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바탕으로 공동체의 십자가를 함께 지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홍성남 신부는 “가난한 이에 대한 우선적 관심과 배려를 표방하는 교회가 적극 개입하고 대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선류 신부(타대오, 춘천교구 가정생명환경위원회 위원장 겸 샘밭본당 주임)는 “교회 내 생명운동 기구들이 무차별 폭력 범죄 등이 발생했을 때 연대하고 협력해서 공동대응하는 체계를 형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순찬 교수는 “지역사회 안에 존재하는 본당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사목의 개념 자체를 본당 신자들만을 위한 교회가 아니라 지역사회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대처하는 활동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지순 기자 beatles@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