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기획/특집

[일상에서 쉼표를] 인천 답동주교좌성당 인근 명소

이승훈 기자
입력일 2015-07-08 수정일 2015-07-08 발행일 2015-07-12 제 2952호 11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중국거리를 지나 다다랗다, 고요한 영적 쉼터에
인천은 서울을 향한 관문이자,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로 개항한 항구도시다. 인천은 수도에 가까운 만큼 외국의 문물이 활발하게 들어왔다. 한국과 아시아의 문화가 어우러진 인천의 일상의 거리를 걸어봤다. 경인선의 종착역인 인천역, 항구가 인접해서인지 바람에 살며시 바다 내음이 섞여 있다. 역을 나서자마자 이국적인 풍경이 펼쳐진다. 대한민국의 작은 중국, 인천 차이나타운이다.

차이나타운, 중국을 만나다

웅장한 석조 패루(牌樓, 중국의 전통적 건축양식의 하나로, 문의 일종) 뒤로 붉은 건물과 한자로 된 간판들에 마치 중국에 온 듯한 기분이다. 화교들은 이미 120년 이전부터 이곳에 자리 잡으며 인천의 일상에 스며들어 갔다. 이곳은 우리에게도 친근한 중국음식 ‘자장면’의 고향이기도 하다. 자장면 외에도 다양한 중국음식이 있고 화덕만두, 월병, 공갈빵 등의 다양한 간식거리도 맛볼 수 있다.

이곳에는 화교들의 삶의 한복판에 뛰어든 교회의 모습도 찾을 수 있다. 해안본당은 화교들을 선교하기 위해 설립된 본당이다. 그래서 1960년 설립 초기에는 선린화교본당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이후 많은 화교들이 중국으로 돌아가면서 신자 수가 줄었지만 여전히 차이나타운에서 지역 신자들과 화교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차이나타운에 있는 해안성당.

차이나타운에는 다양한 볼거리가 많다. 중국식 건물과 조형물들을 볼 수 있고, 옛 청국 영사관이었다고 하는 화교 중산학교 벽면의 삼국지 벽화를 보며 걸으면 삼국지의 줄거리를 한눈에 즐길 수 있다. 한중문화관에서는 중국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다채로운 전시와 체험을 할 수 있다. 또 옛 일본의 조계지였던 구역에서는 일본풍의 거리도 만날 수 있다.

인천 차이나타운.

차이나타운을 지나 응봉산 자락을 따라 올라가자 울창한 숲과 산책로가 보인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구식 공원, 자유공원이다. 가족·친구·연인 등이 산책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인천항과 바다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오는 경치와 나무가 우거진 산책로로도 유명한 곳이다.

자유공원은 설립 당시 만국(萬國)공원이라는 이름으로 인천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위해 조성된 곳이었다. 인천상륙작전을 기념하면서 1957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칭됐다. 맥아더 장군의 동상과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탑 등의 조형물도 만날 수 있다.

자유공원에서 바라본 인천항.
자유공원 맥아더 장군 동상.

공원을 지나 10분가량 걸으면 신포시장이다. 인천 최초의 근대적 상설시장인 이곳은 ‘어시장’, ‘닭전’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오던 먹거리의 명소다. 닭강정, 오색만두, 순대 등 다양한 먹거리가 있는 이곳은 쫄면이 처음으로 탄생한 곳이기도 하다. 특히 닭강정이 유명해 닭강정을 먹기 위해 줄을 선 풍경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지역 복음의 씨앗, 답동주교좌성당

시장 입구 맞은편으로 십자가가 달린 종탑이 보였다. 지금까지 걸어온 일상 안을 함께 살며 하느님 말씀을 전해온 인천교구 답동주교좌성당이다. 언덕을 오르니 3개의 종탑이 우뚝 솟은 성당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로마네스크 양식의 성당은 12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인천 사람들과 함께해왔다.

답동주교좌성당. 유리화의 아름다운 빛 아래 기도하려는 신자들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1889년 설립된 본당은 개항지인 이곳에서 여러 국적의 사람들을 아우르며 선교에 매진해왔다. 한국을 찾는 선교사의 쉼터였고, 서해안 섬 지역 복음전파의 지원군이기도 했다. 또 학교, 고아원, 병원 등을 설립해 지역사회 안에서 가난한 이들을 위해 일했다.

반듯하고 웅장한 외관과 달리 성당 내부는 둥근 기둥과 아치의 조화로 유려했다. 유리화에서 쏟아지는 빛이 아름다움을 더했다. 하지만 성당이 더욱 아름답다고 느낀 이유는 따로 있었다. 미사도 없는 고요한 성당에 기도하는 신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곳이야말로 기도하는 이들의 일상, 그 한가운데였다.

이승훈 기자 (joseph@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