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기획/특집

[사제의 해에 돌아보는 사제] 사제 이태석 (2)

이태영 신부(꼰벤뚜알 프란치스코 수도회·이태석 신부 형)
입력일 2010-06-08 수정일 2010-06-08 발행일 2010-06-13 제 2701호 7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부르심에 응답한 삶
이태석 신부는 음악적 재능도 타고났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쉬운 동요를 작곡했으며, 중학생 때에는 부산시에서 작곡부문 대상을 받기도 했었다. 그가 중학생 때 지은 ‘묵상’이라는 곡과 ‘슈쿠란 바바’(하느님 감사합니다)라는 곡은 이태석 신부의 삶을 단적으로 드러내 주고 있다.

♪ 묵상

십자가 앞에 꿇어 주께 물었네. 오~오~오

추위와 굶주림에 시달리는 이들,

총부리 앞에서 피를 흘리며 죽어가는 이들을 왜 당신은 보고만 있냐고.

눈물을 흘리면서 주께 물었네.

세상엔 죄인들과 닫힌 감옥이 있어야만 하고,

인간은 고통 속에서 번민해야 하느냐고.

조용한 침묵 속에서 주님 말씀하셨지.

사랑, 사랑, 사랑 오직 서로 사랑하라고.

난 영원히 기도하리라. 세계평화 위해.

난 사랑하리라. 내 모든 것 바쳐.

자신의 기도였던 노래 가사처럼 이태석 신부는 의사이면서 신부가 된 후 곧 바로 사랑의 삶을 위해 아프리카 수단의 톤즈로 떠나가 마지막 남은 생을 투신하게 된다.

이태석 신부가 이처럼 하느님의 사랑 실천에 모든 것을 투신했던 것은 그의 성소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그가 성소를 생각하게 된 것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마태복음 25장의 최후의 심판에 나오는 “가장 보잘 것 없는 이들 하나에게 해 준 것이 바로 나에게 해준 것이다.” 이 말씀을 그는 항상 기억하며 살았다고 한다. 또 다른 하나는 중학교 1학년이었을 무렵에 성당에서 보았던 ‘다미안 신부’ 영화였다.

그가 신부가 된 후 아프리카 수단으로 가겠다고 가족에게 자신의 뜻을 밝히자 한 누나가 그에게 물었다.

“한국에도 어려운 벽지가 많은데 왜 꼭 아프리카로 가야만 하나?”

이태석 신부의 대답은 다음과 같았다.

“그곳에는 아무도 가려는 사람이 없기에 나라도 가야 한다.”

수단의 톤즈에서 사목하던 중 20년 동안이나 내전에 휩싸였던 남북 수단이 2005년에 평화협정을 맺었다는 소식을 듣고 감격에 싸여 ‘슈쿠란 바바’(하느님 감사합니다)라는 짧으면서도 매우 감동적인 곡을 짓게 된다.

자신이 살고, 또한 누리고 싶었던 하느님께서 주시는 ‘평화’의 가장 큰 장애물이었던 ‘전쟁’이 일시적으로나마 멈췄다는 소식에 감격에 겨워 지었던 노래이다. 하느님 사랑에 투신했던 자신의 삶에 대한 하느님의 응답에 감사의 찬미를 드렸던 것이다. 마치 감사로 자신의 삶을 마무리하는 것처럼.

이태석 신부의 삶이 아름답게 빛날 수 있었던 것은 의사이면서 신부였던 그의 신분보다도 하느님의 부르심에 단순하고 순수하게 응답함으로써 사람에게 봉사하시는 하느님의 사랑을 보여주었기 때문일 것이다.

아프리카 수단 아이들로 구성된 브라스밴드와 이태석 신부.

이태영 신부(꼰벤뚜알 프란치스코 수도회·이태석 신부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