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기획/특집

[행복하여라, 평화를 위해 일하는 사람들] 인터뷰-가톨릭대학교 마상윤 교수

박지순 기자
입력일 2019-12-23 수정일 2019-12-24 발행일 2020-01-01 제 3176호 11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평화 우선적으로 추구하고 자연스럽게 통일로 이어져야”
1989년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 발표
북한과의 화해 위한 기도 운동 전개
1995년 북한 수해민에 첫 성금 전달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 설립

가톨릭대학교 국제학부 마상윤(발렌티노) 교수는 대한민국의 지상 과제인 한반도 통일을 위해 우선적으로 ‘평화통일’의 개념 정립을 주장했다.

마상윤 교수는 “평화적으로 통일을 해야 한다는 당위성은 부인할 수 없지만 평화와 통일, 통일과 평화를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한반도 평화에 통일이 전제돼야 한다는 생각에는 통일 방식이 ‘흡수통일’이어야 한다는 논리가 깔려 있는데 이런 사고로는 통일이 되지 않을뿐더러 남북 상호 간 적대감 해소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마 교수는 계속해 ‘평화통일’은 시간적 순서에서 평화가 우선돼야 한다면서 “남북이 타협하고 존중하는 가운데 먼저 평화 공존을 추구하고 교류 활성화와 남북의 ‘통일적 모습’ 발견, 확보 과정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통일에 이르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평화가 우선되지 않는 통일에 대해 “현재 남북의 국력 격차가 현저한 상황에서 평화보다 통일을 앞세우거나 통일이 곧 평화라고 말하는 것은 우리가 북한을 흡수하자는 성급한 주장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해석했다.

마 교수는 1945년 분단과 1950년 한국전쟁 이후 분단이 고착화된 후 남한 정부가 내세운 통일 정책을 시기별로 개괄하고 “1945년 분단 직후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분단을 일시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였고 금방 통일이 될 줄 알았다”며 “한국전쟁 후 이승만 정부는 무력에 의한 ‘북진통일’을 국시로 내세웠지만 현실성이 없는 정책이었다”고 분석했다.

마 교수는 “현재 대한민국의 공식적인 통일 방안은 1989년 9월 노태우 정부가 발표한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에 기초하고 있다”고 소개하고 “노태우 정부 이후 여러 정부를 거치면서 수정, 보완된 측면이 있지만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기본적인 기조가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민족공동체헌장 채택-남북연합 실현-통일민주공화국 실현의 ‘3단계 통일방안’으로 불린다. 마 교수는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여야는 물론 진보와 보수 모두가 참여해 만들었고 현실과 이상을 조화롭게 반영했기 때문에 지금처럼 정치권과 사회가 극심한 분열을 겪고 있는 시대에서는 그 이상 훌륭한 통일방안을 만들 수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한국교회가 통일정책에 취해 온 입장을 묻는 질문에 “한국전쟁이 남긴 상처가 너무나 크다 보니 1950년대 이후 한국교회도 북한을 적대시하거나 민족화해를 내세우기가 힘든 면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거는 과거대로 역사로서 존중해야 하고 고(故) 김수환 추기경 등 한국교회 지도자들이 통일을 지향하고 북한을 민족화해 대상으로 인식한 모습을 지금의 한국교회 입장이라고 보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남북 화해와 통일의 핵심 선결과제로 여겨지는 ‘북한 비핵화’와 관련해서는 “북한을 적대시해서도 안 되지만 북한의 ‘특수성’도 알아야 한다”며 “북한이 핵을 포기하더라도 자신들의 체제가 보장되고 안전하다는 의식을 심어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박지순 기자 beatles@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