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한일 갈등 해법 모색한 동북아평화연구소 학술대회

입력일 2019-10-15 수정일 2019-10-15 발행일 2019-10-20 제 3166호 23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한국 대법원이 일제 강제 징용 피해자에 대한 일본 기업의 배상책임을 인정한 판결을 내리면서 시작된 한일 갈등은 아직도 어디서부터 풀어야 할지 답을 못 찾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의정부교구 민족화해위원회와 가톨릭신문사가 공동주최하고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가 주관한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를 위한 종교의 역할 제3회 국제학술대회가 10월 9일 ‘한일 관계의 역사, 그리고 기억의 치유’를 주제로 열린 것은 의미가 무척 크다.

한일 갈등은 한일 간 역사를 통시적으로 추적하지 않거나 그 치유를 미뤄둔 채로는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국은 일본으로부터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식민지배를 받았고 해방 후 5년이 지난 시점에 6·25전쟁의 참화를 겪으면서 전 국민이 고통 속에 허덕였다. 그러나 지금은 어떤가? 한국은 경제적으로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성장을 거듭해 경제 대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민주주의를 키워 온 정치 문화에서는 오히려 일본보다 우위에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00년 역사에서 한국이 일본보다 약자라고 여겨지는 시기는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를 전후 한 100년 정도에 불과하다고 볼 수도 있다.

이번 제3회 국제학술대회 참가자들은 현재 전개되고 있는 한일 갈등의 원인과 책임은 일본 정부에 있다는 데 전반적으로 동의했다. 가쓰야 다이지 주교(일본 주교회의 정의평화협의회 회장)와 미쓰노부 이치로 신부(일본 상지대 신학부 교수)도 이 점을 인정했다.

한국 정부와 교회는 한일 갈등의 책임 소재는 분명히 하되 극단적 대립을 피하고 화해와 상생의 종교적 가르침을 바탕으로 해법을 찾아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