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개요
(1)저자와 저술연대=집회서는 구약성서 가운데 예언서를 제외하고 저자가 명시된 단하나의 책이다. 저자는 엘르아잘의 아들, 시라의 아들 예수이다.(50,27)
그는 예루살렘 출신으로 성서, 특히 모세 5경과 시편과 잠언집에 정통하였고 수많은 여행으로 상류사회에 접하고 풍부한 경험을 통하여 얻은 지식으로 학교를 개설하고 지혜를 찾는 모든 이들을 가르친 율법학자였다.
만년에 예루살렘에 정착한 사라의 아들은 기원전 1백 80년경 히브리어로 자신의 지혜와 지식의 총체인이 책을 저술하였고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그의 손자가 기원전 132년경에 에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그리이스어로 옮겼다.
(2)책명=우리에게 「집회서」로 알려진 이 책의 히브리원명은 「시라의 아들, 엘르아잘의 아들 예수의 지혜」이다. 유다인들은 집회서를 「벤시라의 격언」또는 「벤시라의 책」이라 부른다. (벤(Ben)은 아들이란 뜻)오늘날 단순히 「시라서」라고도 하는 집회서의 히브리 원본은 분실되어 수세기동안 흔적을 찾을 수가 없었다.
그러나 11,12세기의 것들로 추정되는 이 책의 히브리어 단편 다석이 1896~1900년에 옛카이로에 있는사나
고 가의게나지(폐본된 성서보관창고)에서 발견되었고, 1956년 꿈란의 제2동굴과 1964년 마사다에서 또 다
른 단편들이 발견됨으로써 교회가 쓰고있는 집회서는 벤시라의 손자가 「머리말」에서 밝히는 대로 히브리어 원본에 그리이스어 번역임이 확실히 증명되었다.
초대교부들은 시하의 지혜를 「가장 뛰어난 지혜」라 부르기도 하였다. 그리스도 교회에서 집회서로 불리
우게 된 것은 치뿌리아노 시대(200~257)부터이다. 당시에 시라의 지혜는 세례를 준비하는 예비자 교리서로 사용되어 「교회의 책」곧 집회서가 된 것이다. 오늘날은 원명대로 「벤시라서」라 부르는 학자들도 많다.
(3)경전성=유다인들은 집회서를 경전목록에서 제외시키고 있다. 유다의 일반전례와 문학에 널리 유포된 이책이 신약에 가까운 시대의 저술로서 사두가이적인 입장을 위하기 때문에 바리사이적인 신학을 고수하던 얌니야회의에서 탈락시킨 것이다. 사실 집회서에는 내세에 대한 분명한 언급이 없으며 사람의 자유와 도덕적 책임을 강조하고, 다른 교훈서에서는 보기드문 성직자 존중, 이교세계에 대한 호의적 태도 등 바리사이적인 엄격함과는 거리가 멀다. 유다인들의 결정은 초대교회시절부터 높이 평가되던 이책의 정경여부에 영향을 미쳐 그리스도 교회내에서도 얼마간의 논란을 초래했으나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제2경전으로 확정지었다.
(4)저술목적과 배경=마카베오서를 통해본 바와 같이 유다는 기원전 2세기경 시리아의 셀류코스 왕조의 지배아래 강력한 그리이스화 정책에 놓여있었다. 이런 위기에 대항하여 유다의 정신적 지도자들은 보수적 또는 진보적 입장에서 나라를 지켰다. 집회서의 저자는 보수적인 자세의 대표로서 계시된 종교와 경험에서 우러난 지혜를 종합하여 유다이즘을 옹호할목적을 훌륭히 수행할 것이다. 그러나 그는 헬레니즘과 직접 대결하지 않고 선의를 지닌 이교 인본주의자들에게 참지혜는 이스라엘에 있음을 타고난 문장력으로 가르쳤다.
그리이스가 낳은 위대한 철인들, 호메로스, 소크라테스, 아리스코켈레스의 인간적 지혜는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이스라엘의 지혜와는 비교가 안됨을 세세하게 나열하며 율법을 새롭게 조명하여 그리이스의 문명과 문화에 매혹되려는 유다인을 지키고 이교인들에게는 하느님을 알렸다.
반성과 훈계, 충고와 명언으로 한결같이 실천적인 인생의 법도를 가르치는 벤시라가 젊어서부터 추구한 지혜탐구의 자세는 오늘 어려움을 헤쳐나아가야하는 우리의 귀감이다.
교리/영성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 이 말이 궁금해요
- 전통 가정과 가톨릭 가정
- 주님 만찬으로의 초대
- 이동익 신부의 한 컷
- 이주의 성인
- 민범식 신부의 쉽게 풀어쓰는 영성과 기도 이야기
- 하느님 안에서 기쁨 되찾기
- 최대환 신부의 인물과 영성 이야기
- 펀펀 전례
- 자아의 신화를 찾아서
- 펀펀 교리
- 쉽게 풀어쓰는 영신수련
- 김인호 신부의 건강한 그리스도인 되기
- QR 생활성가
- 나는 예비신자입니다
- 차동엽 신부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해설
- 정하권 몬시뇰의 가톨릭교회교리서 해설
- 교회법아 놀자
- 전달수 신부의 묵시록 연구
- 청소년 영성
- 길거리 피정
- 재미있는 전례 이야기 ‘전례 짬짜’
-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Ⅱ
- 성서해설
- 복음해설
- 훠꼴라레 생활말씀
- 성좌의 소리
- 정영식 신부의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 영성으로 읽는 성인성녀전
- 성숙한 신앙
- 대희년을 배웁시다
- 그리스도교 영성사
- 영성의 대가들
- 백민관 신부가 엮는 신약성서 해설
- 지상 신학강좌
- 바오로 서간 해설
- 유충희 신부의 '바오로 서간' 해설
- 정영식 신부의 신약성경 읽기
- 주뻬뻬 수녀의 복음묵상
- 성서말씀나누기
- 교부들로부터 배우는 삶의 지혜
- 교부들의 가르침
-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 영성의 대가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