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일상문화 속 교회 이야기] 인사말

이승훈 기자
입력일 2016-03-08 수정일 2016-03-08 발행일 2016-03-13 제 2985호 14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박해시대에 전파된 ‘찬미예수’ 인사 때마다 주님 기억하게 해
사람과 사람이 만나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인사’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서로 만나거나 헤어질 때는 인사를 하면서 서로의 안부를 확인한다. 교회는 오랜 역사 속에서, 만남의 첫 단추이자 마지막 단추인 이 인사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교회의 역사가 긴 서양 국가 중 많은 수가 인사말을 통해 하느님의 축복을 기원했다. 그 대표적인 말이 ‘굿바이’(Goodbye)다. 어린 아이들도 ‘빠이빠이’(Bye-bye)라는 인사를 사용할 정도로 우리에게도 친숙한 말이다.

‘굿바이’의 ‘굿(good)’은 ‘좋은’이라는 의미로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하느님(God)이란 말에서 왔다. ‘굿바이’가 하느님이 곁에서 축복해주시기를 비는 고대영어(God be by ye 또는 God by ye)가 변형된 것이기 때문이다. ‘굿모닝’(Good-morning), ‘굿이브닝’(Good-evening), ‘굿나잇’(Good-night)도 같은 맥락이다.

스페인어에서 헤어질 때 인사말인 아디오스(Adios), 바이아 콘 디오스(Vaya con Dios)도 ‘하느님께로’, ‘하느님과 함께 가라’라는 의미다. 프랑스어에서 긴 이별을 할 때 사용하는 인사말 ‘아듀’(Adieu)도 ‘하느님 앞에서’라는 뜻이다. 다시 말해 다시 만나기 어려운 이에게 ‘하느님 앞에서 다시 만나자’고 기약하는 말이다.

1984년 방한 당시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우리나라를 두루 방문하고 신자들을 만날 때마다 우리 교회에서 탄생한 인사말로 인사했다. 바로 ‘찬미예수’다. ‘예수를 찬미합시다’(laudate Jesum)를 줄인 인사말 ‘찬미예수’는 박해시대에 탄생해 이어오는 우리 신자들 고유의 인사다.

‘찬미예수’가 정확히 언제부터 사용됐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1862년 미리내에서 사목하던 파리외방전교회 칼레 신부가 작성한 서한에 따르면, 선교사들은 ‘찬미예수’라는 인사를 장려하고 이를 통해 잠벌을 일부 면해주는 ‘한대사’를 얻을 수 있게 했다.

신앙선조들은 ‘찬미예수’라 인사하고 ‘아멘’이라 응답하는 인사말을 사용했다. 신자들은 신분도 성별도 가리지 않고 이 인사말을 사용하면서 우리가 본받아 따르고 찬양해야 할 분이 누구인지 늘 기억했던 것이다.

이승훈 기자 (joseph@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