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신앙으로 현대 문화 읽기] 영화 ‘신과 인간’

김경희 수녀(성바오로딸수도회)
입력일 2015-09-22 수정일 2015-09-22 발행일 2015-09-27 제 2963호 13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왜 이리 믿음은 쓰라립니까?
영화 ‘신과 인간’ 포스터.
1996년 알제리에서 트라피스트 수사 7명이 이슬람 무장단체에 납치되어 잔인하게 처형된 일이 있었다. 이 사건을 다룬 영화 ‘신과 인간’은 알제리에서 평화의 보루였던 아틀라스수도원이 순교의 무덤이 되기까지, 목자이신 주님을 따라 십자가의 길을 선택한 수사들의 마지막 여정을 아주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영화는 “주님, 제 입술을 열어주소서”라는 기도로 시작되는 수사들의 평범한 하루일과를 첫 장면으로 삼는다. 그들의 기도와 노동은 오랫동안 평온하게 짜여진 씨줄과 날줄처럼 마을공동체와 깊이 연결된 것이었고, 티비린의 보건소였던 수도원은 사람들의 몸과 영혼을 치유하는 곳이었다. 그런데 이슬람 무장단체의 그리스도인에 대한 공격과 살인이 무차별적으로 자행되면서 그들의 표적이 된 수도원은 존폐를 가르는 위기에 놓인다. 게다가 성탄절 전날 밤 들이닥친 무장괴한들의 위협에 시달린 수사들은 이제 합리적인 방법으로 생명을 구할 것인지, 끝까지 남아서 무모한 순교라도 받아들일 것인지를 놓고 첨예한 갈등을 겪게 된다.

영화는 수사들의 이 고통스런 내면을 전례와 시편기도로 표현하고 점점 조여드는 현실상황과 번갈아 보여주면서 한 편의 숭고하고 예술적인 수난극을 완성한다. 다큐멘터리처럼 현장음으로만 처리된 영화의 끝부분에 처음으로 들려오는 음악 ‘백조의 호수’를 배경으로 수사들의 미소가 눈물로 변하는 침묵의 만찬은 십자가의 길에 들어선 그들과 깊이 공감할 수 있는 명장면이다.

이 영화를 하나의 순교극 정도로만 예상했던 나는 이 안에서 또 하나의 복음서를 발견한 느낌이었다. 예수님의 제자로서, 양떼를 이끄는 목자로서, 하느님께 봉헌된 자로서 자신들이 있어야할 곳이 어디인지 공동체가 함께 식별하는 과정에서 그들을 괴롭혔던 두려움과 이기심이 신앙과 형제애로 극복되고, 결국 마을의 운명에 끝까지 함께할 것을 선택한 그들의 모습에서 이 시대를 동반하시는 예수님의 얼굴을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비록 피를 흘리지는 않지만 매 순간 정직하게 자신의 십자가를 받아들이고, 그분께서 건네신 희망에 힘입어 끝까지 사랑하는 일은 언제나 낡고 이기적인 자아의 죽음이 따르는 일이기에 백색순교라 불린다. 이 영화가 개봉되었을 당시 많은 유럽의 젊은이들이 교회로 돌아왔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이 불의한 세상에서 하느님의 현존을 묻는 이들에게 주님의 말씀과 그분을 닮은 사랑으로 자신을 내어놓는 백색순교의 삶이야말로 그들이 갈망하는 진실한 증거가 될 것이다.

“정녕 자기 목숨을 구하려는 사람은 목숨을 잃을 것이고, 나 때문에 자기 목숨을 잃는 그 사람은 목숨을 구할 것이다”(루카 9,24).

김경희 수녀는 철학과 미디어교육을 전공, 인천가톨릭대와 수원가톨릭대 등에서 매스컴을 강의했고, 대중매체의 사목적 활용방안을 연구 기획한다. 가톨릭영화제 프로그래머이며 현재 광주 바오로딸미디어 책임을 맡고 있다.

김경희 수녀(성바오로딸수도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