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제가 잘 아는 신자가 성당에서 혼인성사로 결혼식을 올리고 20년 동안 결혼생활을 하다가 7년 전에 이혼하였습니다.
전 남편은 외인과 동거하면서 성사생활을 무시하고 살고 있고 부인은 혼자 살고 있는데 결혼하자는 사람이 생겼습니다. 남자는 내년 부활에 영세를 받으려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부인이 이혼 후 냉담상태로 지냈으나 결혼할 상대가 성당에 같이 나가자고 하는데 성사생활이 가능한가요? 어떻게 해야 조당을 풀고 결혼할 수 있을까요?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대답입니다
성사혼인을 하고 이혼을 하셨군요. 질문의 내용으로 봐서는 현재 자매님은 혼자 따로 사시면서 재혼을 준비 중인 것 같습니다.
우리 교회는 민법상의 이혼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당사자들이 민법상 이혼신고를 하고 따로 남남으로 살아간다고 해서 혼인의 유대까지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성사혼인의 유대는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것이지요.
여전히 교회법적으로는 부부인 것입니다. 지금 자매님이 냉담상태라면 고해성사를 보시고 새로이 신앙생활을 하시면 됩니다. 성사생활에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혼인을 맺기 위해서는 처음 맺었던 혼인의 유대를 풀어야 합니다. 방법은 교회 법원에 혼인무효소송을 제기하여 무효판결을 받는 것입니다. 지금부터 준비를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무효판결이 나오기까지는 시간이 걸리니까요. 재혼을 하시려면 반드시 밟으셔야 할 절차입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지금의 혼자 지내는 상태에서는 자매님이 성사생활을 하는 데에 아무런 지장이 없습니다.
신동철 신부는 1993년 사제품을 받았으며 로마 교황청립 라테란대학교에서 교회법 박사학위를 받았다.
※ 전례와 성사 및 기타 신앙생활과 관련된 교회법에 대한 문의는 신동철 신부(stomaso@hanmail.net)나 편집국(22면 주소 참조)으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교리/영성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 이 말이 궁금해요
- 전통 가정과 가톨릭 가정
- 주님 만찬으로의 초대
- 이동익 신부의 한 컷
- 이주의 성인
- 민범식 신부의 쉽게 풀어쓰는 영성과 기도 이야기
- 하느님 안에서 기쁨 되찾기
- 최대환 신부의 인물과 영성 이야기
- 펀펀 전례
- 자아의 신화를 찾아서
- 펀펀 교리
- 쉽게 풀어쓰는 영신수련
- 김인호 신부의 건강한 그리스도인 되기
- QR 생활성가
- 나는 예비신자입니다
- 차동엽 신부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해설
- 정하권 몬시뇰의 가톨릭교회교리서 해설
- 교회법아 놀자
- 전달수 신부의 묵시록 연구
- 청소년 영성
- 길거리 피정
- 재미있는 전례 이야기 ‘전례 짬짜’
-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Ⅱ
- 성서해설
- 복음해설
- 훠꼴라레 생활말씀
- 성좌의 소리
- 정영식 신부의 영성적 삶으로의 초대
- 영성으로 읽는 성인성녀전
- 성숙한 신앙
- 대희년을 배웁시다
- 그리스도교 영성사
- 영성의 대가들
- 백민관 신부가 엮는 신약성서 해설
- 지상 신학강좌
- 바오로 서간 해설
- 유충희 신부의 '바오로 서간' 해설
- 정영식 신부의 신약성경 읽기
- 주뻬뻬 수녀의 복음묵상
- 성서말씀나누기
- 교부들로부터 배우는 삶의 지혜
- 교부들의 가르침
-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 영성의 대가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