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기획/특집

살맛나는 세상 시장사람 이야기 (3) 대구 서문시장

이나영 기자
입력일 2013-06-11 수정일 2013-06-11 발행일 2013-06-16 제 2850호 12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수백 년 지역민과 함께한 현재 과거 숨쉬는 삶의 터전
서문시장 입구.
시장은 삶이 모이는 곳이다. 물건을 사거나 팔기 위해 온 사람들 모두 저마다 삶의 이야기를 지닌 채 이곳을 찾는다. 삶, 물건, 사람이 엉켜들고 흩어지는 곳이기에 시장은 늘 분주하고 소란스럽다.

특히 크고 오래된 시장일수록 그곳을 찾는 이들의 마음에서 단순한 장소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살맛나는 세상 시장사람 이야기’ 세 번째 순서에서 찾은 대구 서문시장이 바로 그런 곳이다.

서문시장은 지역민에게 시장이 아니라 ‘삶의 터전’이자 ‘추억의 장소’로 여겨진다. 조선 중기부터 형성되어 모든 역사를 지역민과 함께 겪어온 곳이기 때문이다. 예전 이름은 ‘대구장’이었지만, 경상감영이 대구 읍성에 자리한 1601년부터 비약적으로 성장했고, 평양장·강경장과 함께 조선시대 3대 시장으로 꼽히면서부터는 ‘큰장’이라고 불렸다. 그 이름만큼 현재에도 약 5500여 개의 점포에, 3만여 명의 상인이 이곳을 터전으로 살아가고 있다.

그 역사 덕분에 서문시장은 그 자체로 대구 시민의 ‘이웃’으로 존재한다. 2005년 발생한 화재 등 잦은 사고로 서문시장이 고난을 겪을 때마다 시민들은 이웃을 응원하듯 한마음으로 서문시장과 그곳 상인들이 재기할 수 있기를 기원했다. 그러한 마음들이 모여 화재로 폐점됐던 2지구는 7년 만인 2012년에 재개장될 수 있었다.

시장의 나이만큼 이곳에서 장사를 하는 이들도 오랜 경력을 자랑한다. 한곳에서 30년 장사를 한 상인쯤은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1~2년도 힘들다는 시장살이, 그곳에서 신앙생활을 이어가며 수십년 동안 자리를 지키고 있는 이들이 바라보는 서문시장은 어떤 의미일까.

대형마트 난립 등으로 서문시장도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아직도 이곳을 찾는 이들은 많다. 현대 설비를 갖추고 있지만 거리에 난전을 펼친 할머니 등의 모습에서 현재와 과거가 공존하는 매력을 찾을 수 있다.

■ 주단 거래 30여 년, 봉사활동 40여 년

서문시장은 예부터 주단·포목 등의 섬유 거래가 많아, 전국에서 유명한 원단 시장으로 손꼽혀 왔다. 손순란(힐데가드·62·계산본당)씨는 그곳에서 주단 점포만 30여 년 동안 운영해왔다. 오전 10시에 출근해 가게문을 닫는 7시까지는 가게에 매여있는 생활. 하지만 손씨는 시장이 아닌 ‘신앙’에 초점을 맞추고 생활하고 있다. 퇴근 후 시간에는 전례 봉사를 하거나 신앙 관련 강의를 수강하고, 주말 역시 전례 봉사를 하거나 빈첸시오회 활동 등을 하며 시간을 보낸다.

손씨가 성당을 처음 찾은 것은 20대 후반이었다. 집 근처 양로원에서 신앙과 관계없이 ‘그저 좋아서’ 봉사활동을 하던 손씨는, 여러 제약을 받지 않고 봉사 활동에만 매진하고 싶어 수녀가 되기를 꿈꾸었다고. 이후 세례를 받고 본격적으로 성당에 다니면서 지금까지 손씨는 쉬지 않고 봉사 활동을 이어왔다. 봉사와 신앙이 함께 엮여, 둘 모두를 이어갈 수 있는 힘을 손씨에게 준 것이다.

손씨는 “신앙이 있었기에 나눌 수 있는 마음을 꾸준히 가질 수 있었고, 나눌 수 있었기에 행복을 느낄 수 있었다”면서 “생활이 바쁘고 힘들수록 신앙 안에서의 여유로움, 나눔의 행복을 찾는 것이 큰 힘이 된다”고 강조했다.
전국에서 유명한 원단 시장으로 손꼽혀온 서문시장에서 30여 년째 주단 점포를 운영해 온 손순란씨. 오랜 경력만큼 전국의 한복 소매상들이 손씨의 가게를 찾는다.

■ 행상에서 노점까지, 길 위에서 보낸 45년

이순덕(마리아·73·계산본당)씨는 서문시장 노점에서 20여 년째 죽을 팔고 있다. 장사를 처음 시작한 것은 45년 전 쯤. 결혼 직후부터 시름시름 앓다 몸져누운 남편을 대신해 아들을 엎은 채 오뎅 등을 머리에 이고 여기저기에 팔러 다니기 시작했고, ‘큰 시장에서 어떻게든 먹고 살 수 있겠지’하는 마음으로 서문시장에 자리를 잡았다. 그렇게 길 위 장사로 4남매를 키워냈다.

23살에 첫 아이를 낳고 산책을 하다가 집 근처 성당에 끌리듯 몇 차례 찾아간 것이 신앙의 시작이었다. 그 무렵 이씨의 기도는 ‘4남매가 건강히 성장하는 것’과 ‘남편이 함께 성당에 나오는 것’ 두 가지였다. 아이들도 어느 정도 성장해 생활이 안정되어가던 10여 년 전, 시련은 다시 이어졌다. 늘 병약했던 남편이 위암 선고를 받은 것이다. 병원비 등을 마련하느라 힘든 시간이 계속됐다. 이 때 이씨는 시장 바닥에 서서 눈물을 훔치며 ‘남편이 건강을 회복할 수 있기’만을 기도하고 또 기도했다.

10년이 훌쩍 지난 지금 이씨는 힘든 시간들은 기억나지 않는다며 “모든 기도를 들어주신 주님께 그저 감사할 뿐이다”고 말했다. 4남매는 어려운 환경에서도 바르게 성장해 각자의 가정을 이뤘고, 남편은 위암 수술 후 건강을 회복하고는 세례를 받아 그때부터 이씨와 함께 미사에 참례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부부는 힘을 모아 시장에서 폐지를 모았다. 폐지를 판 돈으로는 치매에 걸린 본당 형제를 도왔고, 건립 기금이 필요한 성당에 기부하기도 했다. 일흔이 넘은 나이의 노부부이지만, 이웃을 돕기 위해 새로운 활동을 시작한 것이다.

“신자로서 남을 속여서는 안된다”고 강조하는 이씨는 매일 새벽 4시에 일어나 직접 죽을 쑨다. 한 그릇에 3000원(포장 3500원)하는 호박·팥·녹두죽 3가지를 끓이느라 이씨의 하루는 늘 빠듯하다. 이씨의 단골은 주로 시장 상인이나 근처에서 홀로 생활하는 어르신들. 그들은 이씨가 끓여낸 죽 한 그릇으로 일상의 고단함을 잊고 가족의 정을 맛본다. 하루 장사 끝에 남은 죽을 근처 시각장애인 공동체에 기부하는 것으로 이씨의 일과는 마무리된다.
45년 전 행상에서부터 시작해 지금은 노점에서 죽을 팔고 있는 이순덕씨. 한 그릇 3000원 하는 팥·호박·녹두죽은 물론이고 죽과 함께 제공되는 물김치까지 직접 만들어 판매한다.

■ 건물 입구 간이찻집에서만 30여 년

서문시장 1지구 쪽문의 작은 공간. 끊임없이 사람들이 드나드는 이곳에서 커피, 식혜 등을 파는 간이찻집을 30여 년간 운영한 이가 전종렬(데레사·61·두류본당)씨다. 전씨가 만드는 달콤한 마실 거리들은 근처 상인들에게 하루를 버티는 힘을 주곤 했다.

하지만 전씨의 삶은 고달픈 순간이 더 많았다. 남편은 벌이가 없는 데다 술을 자주 마셨고 폭력적이었다. 전씨는 첫 아이를 낳고 끼니가 없어 굶기를 반복하다가, 배가 너무 고파 무엇이라도 하자는 심정으로 서문시장에 나왔다. 사람으로 가득 찬 시장 골목이었지만, 전씨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었다. 그러다 우연히 장바구니에 커피를 이고 다니는 아주머니를 만났고 그의 도움으로 커피 장사를 시작해, 몇 년 후 지금의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건물 입구 좁은 공간에서 식혜·커피 등을 팔며 30여 년간 간이찻집을 운영해 온 전종렬씨.
신앙생활은 7~8년 전, 친구의 권유로 집 근처 성당을 찾으면서 시작했다. 그곳에서 전씨는 시장에서 본 반가운 얼굴들을 다시 만났다. 혼자 힘으로 3남매를 키우며 힘들게 사는 전씨의 이야기를 소문으로 듣고 수년에 걸쳐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줬던 이웃 상인들이 신자였음을 성당에 가서야 알게 된 것이다. 그들은 성당을 찾은 전씨를 반갑게 맞았고, 전씨는 자신에게 도움을 준 이들에게 작은 기쁨이라도 주고 싶다는 마음으로 신앙생활을 이어왔다. 시장에서 만난 인연이 성당으로까지 이어진 것이다. 전씨는 성당에 나갈수록 마음이 평화로워짐을 느꼈다.

“제 삶은 늘 고달팠어요. 끊이지 않고 일이 터졌고 삶의 무게는 무거웠죠. 남들의 삶을 보면 부럽고 질투가 났고, 못난 제가 한없이 밉고…. 성당에 가서 한동안은 기도가 아니라 원망을 한 것 같아요. 그러다 어느 날이 되니 마음이 조금씩 편안해지더라고요.”

자신이 기도한 그대로 자녀들이 바르게 성장한 것을 보는 요즘, 전씨는 평생 중 가장 행복한 때를 보내고 있다. 길 위에서 버텨온 시간들이 주마등처럼 흘러간다. 전씨는 “오랜 시간 굳건히 삶의 터전이 되어준 시장에도 감사하고, 친형제같은 너무나 좋은 이웃들에도 감사하고 무엇보다 주님께 감사한다”고 30년의 세월을 회상했다.

이나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