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부터 소공동체 활성화의 염원을 담아 ‘소공동체를 찾아서’ 기획을 시작합니다. 매주 본당 단위의 소공동체 활성화 노력과 일선 소공동체의 살아가는 모습들을 취재할 계획입니다. 생생한 소공동체 현장 이야기를 전해 줄 이번 기획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이제 밑그림에 잘 색칠해야죠”
신자 200명의 갓 두달된 ‘새내기 본당’
십일조봉헌 생활화… 시간·재능도 나눠
이제 막 하얀 종이 하나 꺼내 그림을 그려 나가려 한다. 9월 2일 신설된 새내기 공동체, 하남 풍산본당(주임 이대희 신부). 출범 갓 두 달을 바라보는 탓에 아직 단체 결성 등 본당 조직조차 틀을 잡지 못했다. 본당 주보성인도 정하지 못했다. 신자 수도 200명에 불과하다. 주일미사 참례 신자수가 200명이라는 것이 아니라, 교적 신자 수가 200명이다. 성전도 없다. 현재 인근 신장성당 유치원의 한 귀퉁이를 빌려 더부살이를 하고 있다.
공동체 그림 그려나갈 물감이나 크레파스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하지만 이대희 주임 신부는 연필 하나 들고 밑그림을 그려나가기 시작했다. 큰 구도는 소공동체다.
“과거 공소 신자들의 신앙 열정을 되살리겠습니다. 마을 공동체를 이뤄 함께 모여 기도하고, 함께 생활하는 그런 공동체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이신부는 “그동안의 소공동체는 아빠 따로, 엄마 따로, 자녀 따로인 면이 없이 않았다”며 가족단위 소공동체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본당은 크게 4지역으로 나눠 각 지역에 공소 회장에 준하는 평신도 지도자를 임명하고, 가족 단위로 함께 신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앞으로 4개 지역의 지역장은 과거 공소회장들의 역할을 요구할 계획입니다. 모든 필요한 사목적 도움은 본당 차원에서 베풀겠지만, 일상 속에서 매일 함께 기도하고 생활하는 것은 신자들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소공동체 모임도 매주 시간을 정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수시로 일과를 마칠 때마다 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가족 구성원 전원이 함께하는 소공동체 모임도 준비하고 있다. 소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독서, 복사 등도 가족 단위로 시행하려 한다. 본당 신자 한명 한명이 본당 공동체 신앙생활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각오다. 신자 수 2000~3000명이 되어도 이 같은 방침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한다.
“십일조 봉헌을 생활화 하겠습니다. 금전적인 문제 뿐 아니라, 시간과 재능을 함께 나누도록 할 생각입니다. 과거 공소에서는 모두 그렇게 생활했습니다. 신자들은 모두 각자 삶의 터전에서 재능 하나씩은 가지고 있습니다. 그 재능을 나누어야 합니다.”
이신부는 “소공동체가 활성화 되면 소외된 이웃을 위한 복지활동 등도 자연스럽게 활성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소공동체가 본당 활성화, 지역 사회복음화의 밑거름이라는 믿음이다.
“소공동체만 튼튼하면 본당 기틀도 빨리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소공동체가 자리잡지 못하면 본당은 늘 공중에 붕 떠 있는 상태가 됩니다. 하루빨리 가족이 함께하는 소공동체 정착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눈앞에 반짝하는 사목적 성과보다는 멀리보는 사목, 본당 공동체에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는 사목을 위해 힘쓰겠습니다.”
이신부는 논어에 나오는 ‘불환무위(不患無位) 환소이입야(患所以立也)’를 말했다. 지위의 높고 낮음을 근심하지 않고 뜻을 세울 수 있느냐 없느냐를 근심한다는 의미다. “궁극적으로는 나 자신의 뜻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소공동체는 내 뜻이 아니라 하느님의 뜻입니다.”
밑그림은 그려졌다. 이제 그 밑그림에 아름다운 색깔을 입히는 일만 남았다.
연재가 끝난 기사모음
- 우리 본당 주보성인
- 길에서 쓰는 수원교구사-퀴즈
- 교구 순교자를 만나다
- 교구 순교자를 만나다 - 퀴즈
- 선교지에서 온 편지
- 성지의 풍경
- 우리교구 이곳저곳
- 교구 본당의 역사를 따라-퀴즈
- 교구 본당의 역사를 따라
- 영성의 뿌리
- 기쁜 소식 퀴즈
- 순교자의 땅
- 함께 걷자 믿음의 길
- 공소의 재발견
- 성미술 순례
- 기쁜 소식
- 수원판 창간기념
- Go! 2013
- 남수단에서 온 편지
- 수원 수도회 이야기
- 내 손 안에 디딤길
- 내 손 안에 생활성가
- 나는 평신도다
- 최덕기 주교와 함께
- 가톨릭신문 수원교구 창간특집
- 명예기자의 눈
- 김남수 주교의 회고록
- 평신도 발언대
- 우리본당 이런소식
- 수원교구 성지에서 만나는 103위 성인
- 수단에서 온 편지
- 신자 경제인을 찾아서
- 한국교회 창립 선조를 찾아서
- 수단을 입으며
- 교구청 사람들 (수원)
- 소공동체 현장을 찾아서
- 소공동체 모임 자료
- 우리본당 이런사목
- 교구 열린마당
- 청소년과 함께 교회의 미래를
- 마중물
- 가톨릭신문으로 보는 수원교구 50장면
- 초대교구장 윤공희 대주교에게 듣는다
- 교구 단체를 찾아서
- 교구 복지시설을 찾아서
- 교구 신자 의식 조사 분석 보고서
- 길에서 쓰는 수원교구사
- 카리스마를 찾아서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미혼모 돕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연재된 ‘사랑과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기획이 낙태종식 기획에 이어 올해부턴 생명 기획으로 발전했습니다.
- 생활 속 영성 이야기‘영성의 시대’를 맞아 평신도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영성들을 소개 합니다.
- 교리·영성 퀴즈독자들의 즐거운 신앙학습을 위해 ‘교리·영성 퀴즈’를 마련했습니다. 교리와 영성 이야기들을 퀴즈로 풀어내는 이 기획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교리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튜브 속 가톨릭을 찾아라독자들의 신앙성숙을 돕기 위해 유튜브 등 신앙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온라인 영상들을 지면을 통해서도 소개합니다.
- 더 쉬운 믿을교리 해설가톨릭교회의 공식 가르침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를 바탕으로 하느님을 믿고 살아가는 신앙의 기본방향을 쉽게 풀어줍니다.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교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 쉽게 풀이한 사회교리를 만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