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의정부교구, 민족화해센터 개관 기념 ‘한반도 평화’ 심포지엄 열어

서상덕 기자
입력일 2014-12-17 수정일 2014-12-17 발행일 2014-12-25 제 2924호 5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한반도 평화 위해 ‘공감적 대화’가 우선
열린 대북 지원 체제도 필요
분단 현실 파악·분석할
평신도 ‘통일사도직’ 중요
의정부교구 민족화해위원회와 정의평화위원회가 민족화해센터 개관을 기념해 12월 12일 개최한 ‘프란치스코 교황과 한반도의 평화’ 심포지엄에서 상지종 신부가 발표를 하고 있다.
한반도 평화 실현을 위해서는 천안함 사태 이후 남북 민간교류와 대북지원을 전면 금지한 5·24 조치를 해제하고 ‘공감적 대화’ 능력을 복원하는 결단이 선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내용은 의정부교구 민족화해위원회(위원장 이은형 신부)와 정의평화위원회(위원장 김인석 신부)가 민족화해센터 개관을 기념해 ‘프란치스코 교황과 한반도의 평화’를 주제로 12월 12일 오후 경기도 파주 민족화해센터에서 마련한 심포지엄에서 나왔다.

이날 기조강연에 나선 의정부교구 이기헌 주교(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장)는 지난 8월 방한한 프란치스코 교황이 “한반도 평화 실현을 위해 ‘공감적 대화’와 ‘관대한 지원’, ‘화해의 용서’라는 세 가지 길을 당부했다”면서 공감적 대화가 출발점임을 강조했다.

이 주교는 “공감적 대화를 통해 금강산 관광 사업, 남북 왕래와 접촉 등 다방면의 교류 협력을 재개해야 한다”면서 동·서독 분단시 양자는 지속적인 대화 채널을 유지하는 가운데 교역 외에 25년 동안 해마다 20억 1400만 달러가 동독으로 전해졌고, 이 중 71%가 서독 민간인이나 교회가 동독 친지나 동독측 교회에 보낸 물품이었다는 사실을 상기시켰다.

이 주교는 “우리 사회와 교회도 대북지원에 있어 보다 관대하고 적극적인 자세를 지녀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그간 남북관계에 관해 한국교회가 제시해온 북한선교, 통일사목, 민족화해 등의 논의를 아우를 수 있는 ‘통일사도직’을 논의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변진흥 민족화해센터 기획위원은 ‘민족화해 실현을 위한 한국교회의 과제’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원론적으로 통일사도직이란 통일 문제를 사도직 차원에서 총체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변위원은 “통일사목이 교계적 접근을 뜻하는 ‘위로부터 아래로(topdown)’ 방식을 의미한다면, 평신도 통일사도직은 ‘아래서부터 위로(bottom up)’ 방식의 접근을 뜻한다”고 말했다.

그는 분단이 ‘현실’인 상황에서 “통일사도직에 대한 구체적 접근은 분단 현실에 대한 실증적 이해를 전제로 한다”면서 “분단 환경 속에서 남한과 북한이 각자 나름대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이런 변화를 객관적으로 관찰, 이해, 분석,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변 위원은 ‘통일 이전’과 ‘통일 과정’, ‘통일 이후’로 나눠 통일사목과 평신도 통일사도직의 실천 과제들을 제시했다.

특히 통일사목 분야에서는 ▲북한에 사제가 상주하는 문제 해결을 위한 공조 모색 등 북한 조선카톨릭교협회와의 관계 개선 ▲장충성당 재건축 지원 등 평양 장충성당신자 공동체에 대한 사목적 접근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토론에 나선 이은형 신부(의정부교구 민족화해위원장)는 ‘북한 교회’와 단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조선카톨릭교협회’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장충성당에서의 성사 집행권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상지종 신부(의정부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위원)는 ‘평화는 정의의 열매-정의·평화 실현을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한국교회 정의·평화 활동이 성직자 주도가 아니라 평신도·수도자·성직자의 동반자적 연대 안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평신도·수도자·성직자 단체의 정례 논의구조 구축 ▲정의·평화 운동에 참여하는 수도자·평신도 단체와 조직에 대한 다양한 지원 모색 등 을 제안했다.

서상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