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포항 지진, 핵발전 돌아보는 계기로

입력일 2017-11-21 수정일 2017-11-21 발행일 2017-11-26 제 3071호 23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11월 15일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핵발전 안전 신화’가 다시 한 번 도마에 오르내리고 있다. 지난해 9월 경주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5.8 지진에 이어 1년 새 기록적인 규모의 지진을 경험한 국민들은 커다란 충격에 빠져있다.

지진 관련 전문가들이 주목하는 것은 지난 40년 동안 한반도에서 일어난 규모 5.0 이상 지진 9번 가운데 3번이 지난해 발생한데 이어, 올해 또다시 규모 5.4 지진이 발생했다는 사실이다. 지난해 경주 지진 발생 이후 한반도에서 대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커졌다고 본 전문가들의 예측이 현실화되는 것 같아 더욱 염려스럽다. 포항 지진이 더욱 충격적으로 다가오는 건 이번 지진이 기존에 보고된 적 없는 단층에서 발생했다는 사실에 더해 처음으로 ‘액상화 현상’마저 발견됐다는 점이다. 더구나 갈수록 진원지가 낮아지고 있어서 더 위험한 상황이다.

지난해부터 지진이 빈발하고 있는 양산단층 일대에는 울진에 한울 원전 6기, 경주에 월성·신월성 원전 6기, 부산과 울산에 고리·신고리 원전 6기 등 총 18기의 핵발전소가 운영 중이고 5기의 핵발전소가 건설 중이다.

상황이 이러함에도 일각에서는 핵발전소는 ‘안전하다’는 말을 주문처럼 되뇌고 있어 사태의 심각성을 제대로 깨닫지 못하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품게 한다. 더구나 이러한 현실 이면에 일자리 문제, 지역경제 활성화 등 경제 논리에 매몰된 배금주의라는 이 시대의 바벨탑이 똬리를 틀고 있어 염려를 더한다.

양산단층을 비롯해 8개의 대규모 활성단층들로 이루어진 양산단층대가 다시 활동을 시작한 것이라면 내진설계 기준 강화만으로 위험이 해소되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진단이다. 이제부터라도 지진에 대비해 핵발전소 관리를 철저히 해 사고 확률을 줄이고 핵발전소 수를 줄여나가는 탈핵 정책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